메뉴

검색

종합

엑스게이트, 주가 급등…SKT 양자보안통신 국제표준화 참여에 VPN 기술 부각

2023-08-30 03:31:57

엑스게이트, 주가 급등…SKT 양자보안통신 국제표준화 참여에 VPN 기술 부각
[빅데이터뉴스 김민정 기자] 엑스게이트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엑스게이트 주가는 종가보다 3.54% 오른 614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엑스게이트의 시간외 거래량은 61만863주이다.
SK텔레콤이 양자컴퓨터의 해킹 공격까지도 막아낼 수 있는 '양자보안통신' 기술 국제표준화 제정 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기술 표준은 장단점이 뚜렷한 양자키분배기술(QKD)과 양자내성암호(PQC)을 결합해 통신의 전(全) 과정을 보호하는 것이 핵심이다.

엑스게이트가 최근 상승세를 띄는 것은 SK텔레콤과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은 엑스게이트의 VPN 서버 장비에 IDQ의 양자난수생성기 칩셋을 연동해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을 개발했다.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에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적용됐다. 양자 컴퓨팅에 의해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기존 암호화 방식에 양자난수생성 기술을 활용해 보안성을 대폭 개선했다.
또한 엑스게이트의 VPN 장비에 QRNG 칩셋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했기 때문에 기존 VPN 이용 시 필요한 장비 외에 별도 추가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월 사용료도 기존 VPN과 동일해 경제적 효율도 높다는 설명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오는 9월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QSC)' 표준 과제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고 28일 밝혔다.

ITU-T는 국제 기술 표준화를 위한 국제연합(UN) 산하 정보통신기술 전문기구로, 통신 분야 표준을 정하는 단체다.
SK텔레콤은 지난 상반기 회의 당시 '양자보안통신'을 신규 표준으로 제안했고, ITU-T에서 이를 과제로 채택한 바 있다.

양자보안통신은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통신 전 과정을 보호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QKD와 PQC를 결합하고, 두 기술의 장점을 취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통신보안기술이다.

QKD는 '중첩'이라는 양자역학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해킹이 불가능할 정도로 보안 강도가 높다. 다만 하드웨어 기반 기술이기 때문에 사업자는 물리적인 키 분배장치를 구간마다 설치하고 운용해야 해 비교적 난이도가 높고 더 많은 비용이 든다.

PQC는 수학적 난제를 활용해 양자컴퓨터가 풀어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도록 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구현이 가능해 확장성이 뛰어나지만, 향후 난제를 풀 수 있는 진화한 알고리즘이 나타나면 보안이 뚫릴 가능성이 있다.

SK텔레콤은 QKD와 PQC를 통합해 관리하는 솔루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QKD를 적용한 구간과 PQC 기술을 적용한 구간을 연결해 통신 전 구간을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한다는 전략이다. 한 구간에 두 기술을 모두 사용해 보안 강도를 극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에서 스마트폰까지 통신이 진행되는 경우 유선망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에서 인터넷망 구간과 교환국과 기지국 구간에는 QKD를 적용하고, 무선망 기반의 기지국과 스마트폰 사이에는 PQC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데이터가 대규모로 저장되는 데이터센터와 백업 데이터센터간 혹은 공공·국방·금융 등 중요하고 민감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센터에는 보안강도가 훨씬 높은 QKD을 적용한다. 이를 무선 통신으로 외부에 전송할 때는 확장성이 뛰어난 PQC를 적용하면 보다 안전한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2025~2028년 시행되는 차기 연구 회기에서 정보보호연구반 내 양자암호통신 관련 내용을 다루는 실무 작업반의 표준화 영역을 양자 기술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기고도 제출했다. 해당 기고도 이번 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양자 기반 글로벌 보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ITU-T를 포함해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와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 등 국제기구 표준 수립 작업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양자보안과 같은 유망 기술의 규격·품질 등에 대한 공통 합의가 정해지면 기술의 발전과 산업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은 15개의 실무반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연구 과제의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한다. SK텔레콤은 양자보안 및 차세대 보안 기술에 대한 표준을 수립하는 실무작업반의 의장을 맡아 양자암호통신기술 국제 표준 수립을 선도하고 있다.

SK텔레콤은 ETSI에서 양자암호통신망의 자동 제어, 운영 기술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각기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암호망으로 확장하는 표준 개발도 작업 중이다. GSMA에서도 QKD 및 PQC 실제 적용에 필요한 부분을 논의하는 것에도 앞장서고 있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표준 제정 등을 비롯해 이를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각기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암호망을 운용하는 것에 대한 표준을 수립하고, 해당 기술을 국가 시험망에서 성공적으로 실증을 완료하는 등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상용화에도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PQC 관련 글로벌 표준 기술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은 알고리즘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미국·일본·싱가포르 등 국제망 VPN(가상사설망)에 PQC를 상용화했다. 지난 2016년에는 상용 LTE망과 2019년 서울-대전 구간 5G망에 QKD 적용에 성공하기도 했다.

2023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와 2022 양자정보기술 백서에 따르면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9.8%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민용 SK텔레콤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국제 회의에서 상호보완적인 양자 암호와 양자 내성 암호의 장점을 활용한 차세대 보안 기술의 표준 수립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SK텔레콤은 국가대표 양자 기업으로서, 양자 암호 통신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통해 글로벌 양자 암호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