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TPC, 주가 약세…임원 주식 35만 주 매도

2023-09-04 07:11:29

TPC, 주가 약세…임원 주식 35만 주 매도
[빅데이터뉴스 김민정 기자] TPC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약세를 보였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일 시간외 매매에서 TPC 주가는 종가보다 2.02% 내린 4615원에 거래를 마쳤다. TPC의 시간외 거래량은 5만6414주이다.
이는 TPC의 임원이 회사의 주식은 매도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엄재웅 TPC 이사는 지난 1일 회사의 주식 35만 주를 4229원에 시간외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엄 이사가 보유한 TPC 주식은 기존 197만4660주에서 162민4660로 감소했다.

앞서 애플이 스마트워치인 애플워치와 케이스 등에 사용되는 강철 부품 제작 과정에 3D 프린터를 도입하는 방안을 실험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TPC 주가가 강하게 상승했다.
블룸버그통신은 30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애플은 우선 다음 달 12일 공개 예정인 애플워치 시리즈9를 위한 강철 케이스 제작 과정에 3D 프린터를 활용하는 실험을 최근 수개월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3D 프린터 공급업체와 3년 이상 3D 프린터로 강철 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에 애플은 애플워치 관련 부품 제작 시 금속 재료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활용하는 단조(鍛造·forging)라는 방식으로 강철 부품을 제작했다.

새로운 기술은 바인더젯팅이라는 유형의 3D 프린터를 활용해 실제 제품 사이즈에 가까운 큰 틀을 만든다. 고체 가루 형태의 물질을 3D 프린터에 넣고 압력을 가해 단단하게 만든 뒤 이를 가열하면 대략적인 형태가 형성된다. 이후 정확한 디자인과 세공 작업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CNC 공정을 사용한다고 한다.
애플이 애플워치 케이스 제작에 이 기술을 활용하면 큰 금속판을 잘라내는 식의 과정이 없는 만큼 제작 시간은 줄어들고, 제작 공정에 들어가는 원재료 양이 줄어 환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애플은 아직은 초기 단계로 당분간은 소량의 케이스 제품만 이 기술을 활용해 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은 강철 외에도 티타늄 울트라 워치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지만 2024년까지는 계획을 세워놓진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은 애플워치 생산과 관련한 이러한 조치가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다른 제품군 생산 공정으로 3D 프린터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블룸버그는 "애플은 이 기술이 생산 과정을 단순화하고 잠재적으로 비용을 서서히 낮출 수 있다는 걸 증명해 내야 한다"면서 "현재까지는 신기술을 도입해 생산한 워치 케이스 1개당 비용이 이전 공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 1분기 세계 최초 드롭렛(Droplet) 방식 활용 바이오 3D프린터를 출시해 판매에 돌입한 TPC는 글로벌 세계 1위 스트라타시스와 리셀러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