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민정 기자] 이루온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이루온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9.72% 오른 2315원에 거래되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채팅+(채팅플러스)'가 PC까지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채팅플러스가 스마트폰에서 기본 문자 서비스로 자리잡은 만큼 PC버전까지 외연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모바일·PC 모두 1위 메신저를 지키고 있는 '카카오톡'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채팅플러스의 PC버전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조만간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PC버전의 비공개 테스트도 진행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 테스트 참여자를 모집 중이며, 이를 위해 개인정보처리방침도 일부 변경했다.
채팅플러스는 지난 2019년 이동통신 3사가 출시한 RCS(커뮤니케이션 스위트) 방식의 무료 메신저 서비스다. 기존의 SMS 형식의 문자서비스보다 확장성을 넓히기 위해 GSMA(세계이동통신협의회)에서 표준화한 문자 규격이다.
채팅플러스는 출시 당시에도 국내 메신저 앱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던 카톡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기존 문자메시지(SMS)와 달리 요금이 따로 부과되지 않고, 각종 편의 기능들이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SMS에서는 제공되지 않았던 메시지 읽음 확인, 그룹채팅, 사진·동영상 무료 전송, 선물하기, 송금하기, 메시지 공감하기, 보내기 취소 기능 등을 모두 제공한다.
무료 메신저를 표방한 카톡처럼 가입 이통사에 무관하게 채팅플러스 이용자 간에는 별도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카톡의 경우 최소한의 '데이터 요금'이 들지만, 채팅플러스는 텍스트·사진 용량이 5MB를 넘지 않으면 데이터 요금도 부과되지 않는다.
이처럼 채팅 플러스는 카톡의 기능을 거의 비슷하게 지원하면서, 인터넷이 아닌 문자메시지 기반 서비스인 만큼 안정성은 더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통 3사가 채팅플러스를 출시한 것으로 두고 카톡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것도 때문이다.
실제로 채팅플러스는 출시 약 반년 만에 가입자 수 2000만명을 넘어선 바 있다. 통신 3사 공식 발표 기준 지난 2021년 4월 가입자 수 2749만명을 기록했는데, 현재는 3000만명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같은 지표에 비해 실제 일상 커뮤니티 용도에 채팅플러스를 활용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는 게 문제다. 사용성이 개선됐다고는 하지만 카톡 등 모바일 메신저에 비해 여전히 불편하기 때문이다. PC에서 쓸 수 없다는 것도 그 중 하나다. 채팅플러스는 카톡과 달리 출시 이후 4년이 지난 현재까지 PC버전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SK텔레콤이 개발 중인 채팅플러스 PC버전이 어떤 식으로 출시될 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PC 카톡과 같이 PC 전용 앱을 별도로 출시하는 방식이 유력할 전망이다. 또한 채팅플러스는 모바일 서비스가 원조인 만큼 기존에 없던 신기능이 PC버전에 추가될 가능성도 크지 않다.
이루온은 앞서 삼성전자가 RCS 기술 기업을 인수했을 때에도 수혜 기업으로 거론되며 주가가 오른 바 있다. 이 회사는 RCS 기반 서비스 필수 시스템을 개발해 공급 중이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