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웰크론한텍, 주가 급등…전고체 개발 사업 예타 통과에 수혜 기대↑

2023-12-04 05:52:27

웰크론한텍, 주가 급등…전고체 개발 사업 예타 통과에 수혜 기대↑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웰크론한텍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일 시간외 매매에서 웰크론한텍 주가는 종가보다 2.11% 오른 38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웰크론한텍의 시간외 거래량은 23만182주이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1천100억원대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9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회의에서 총사업비 1천172억3천만원(국비 820억6천만원) 규모의 '친환경 이동수단용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 사업'이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예타 통과로 내년부터 2028년까지 전기차용 황화물계 전고체 이차전지, 전기차용 리튬메탈 이차전지, 도심 항공용 초경량 리튬황 이차전지가 각각 개발된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대신 고체 전해질을 이용해 화재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여 꿈의 배터리라 불린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음극재로 흑연 대신 리튬메탈을 써 에너지 밀도와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리튬황 배터리는 양극 소재로 황을 써 기존 배터리보다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기체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도심 항공 이동수단 등에 우선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이다.

현재 삼원계 등 상용 배터리가 성능 면에서 한계에 가까워짐에 따라 경쟁국 간 기술 격차가 점차 좁혀지는 상황에서 개별 기업이 다양한 차세대 기술들을 모두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주도의 대형 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차전지 분야에서 13년 만의 예타 과제"라며 "차세대 배터리에 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으로 셀 기업뿐 아니라 소재·부품·장비 등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또 '신산업 대응 차세대 공통·핵심 뿌리기술 개발 사업'(국비 848억원 포함 1천131억원 규모)도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뿌리 산업은 주조, 금형 등 기술을 통해 철강을 비롯한 소재를 각종 산업에 필요한 부품과 장비로 가공하는 기반 산업을 말한다.

이번 예타 통과로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여러 수요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15대 공통 핵심 뿌리 기술 개발이 진행된다.

한편 웰크론한텍은 2차전지 양극재 원료생산을 위한 황산니켈 결정화 설비와 수산화 리튬 농축설비를 2차전지 업체에 공급하고 있어 수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