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광무, 주가 급등…CB발행에 이차전지 소재기업 M&A 기대감↑

2023-12-06 05:41:45

광무, 주가 급등…CB발행에 이차전지 소재기업 M&A 기대감↑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광무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광무 주가는 종가보다 7.49% 오른 2295원에 거래를 마쳤다. 광무의 시간외 거래량은 12만4659주이다.
이차전지 소재기업 광무가 첨가제 신공장(제2공장)을 건설하며 인수·합병(M&A)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광무는 제천공장에 이어 인근 제3산업단지(이하, 제천산단)에 추가 거점을 마련해 생산능력(CAPA)을 늘리는 한편 첨가제 기업으로 거듭난다.

광무는 충북 제천시 왕암동 제천산단 내(2만7547평) 부지에 첨가제 제조공장을 짓는다고 지난 10월 밝혔다. 이번 공장 신축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 등 차원에서 단행됐다.

신공장은 첨가제 자동화 생산 시설 외에도 획기적인 물류 자동화 공정이 구축된다. 회사는 생산 물량을 확대하고 고정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광무는 토지 및 설계 등을 거쳐 공사 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다. 새롭게 건설될 공장은 9월 이전 착공에 돌입해 오는 2024년 3분기 시운전을 목표로 한다.

생산될 첨가제는 국내외 배터리 소재업체 등에 납품 될 예정이다. 첨가제는 전해액의 원재료로 전해액 제조원가의 30~40%를 차지한다. 마진율은 약 20%에 달할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은 소재다.

첨가제 시장은 신규 진입이 어렵다는 특징을 가진다. 전해액 개발 단계부터 양극재와 음극재에 사용될 전해액용 첨가제를 공동 개발하기 때문에 실력이 검증된 업체가 선호된다. 광무는 2021년 말 국내 첫 첨가제 생산 거점을 제천에 확보했다. 이어 소재 개발에 집중하면서 엔켐과 공동 기술을 확보했다.
광무가 지난해 10월부터 증축인 제천공장(제1공장)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지상 1~3층 관리동, 지상 1층 물류동, 지상 1층 위험물저장처리동 등 3개 동 준공을 앞두고 있다.

회사는 지난 2월 '뉴 (New) 광무' 실현을 위한 혁신안 발표 이후 성장동력을 논할 때 '생산역량'을 반복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첨가제 생산 허브가 되겠다는 포부를 계속해서 내비치고 있다.

광무 관계자는 "이번 신공장이 준공되면 국내외 대량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독자적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며 "회사는 소재 기술 고도화를 위해 연내 유관기업 인수합병(M&A) 방안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광무는 전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2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고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150억 원 가량의 전환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