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제이오, 주가 급등…증권가 "LFP 배터리 확대의 수혜주"

2024-02-23 06:04:28

제이오, 주가 급등…증권가 "LFP 배터리 확대의 수혜주"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제이오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제이오 주가는 종가보다 2.61% 오른 2만75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제이오의 시간외 거래량은 2만4090주이다.
이는 국내 배터리 3사가 경기 침체와 전기차 수요 둔화를 극복하기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을 잇달아 공식화하면서 켐트로스의 수혜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는 그간 삼원계(NCM) 배터리를 주력 사업으로 펼쳐왔다. LFP는 CATL 등 중국 업체들이 시장의 95% 이상을 독식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LFP 배터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저가형 전기차 배터리 시장 대응을 위해 LFP 기반 제품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SDI는 같은 해 양산을 목표로 LFP 배터리 소재 생산과 라인 구축을 검토 중이다. SK온은 국내 배터리 업체 중 최초 전기차용 LFP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제이오가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제이오는 TWCNT 독점 기업으로 LFP 수요 증가에 대한 수혜를 고스란히 받을 것"이라며 "2025년부터 실리콘 음극재 적용 TWCNT에 대한 국내 및 일본 고객사 향 양산 시작될 것"이라고 짚었다.

한편 글로벌 탄소나노튜브(CNT) 선도 기업 제이오가 창립 이래 최초로 매출액 1000억 원을 돌파하며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제이오는 14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동공시를 통해 2023년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제이오는 2023년 매출 1145억원, 영업이익 120억2900만원, 당기순이익 173억7800만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도 대비 6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제이오의 매출이 1000억원을 넘은 것은 창립 이래 최초다.

제이오 관계자는 "지난해 7월부터 본격 가동된 전지소재사업부문의 안산 제1공장 신규 설비를 바탕으로 실적 고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었고, 기존 플랜트엔지니어링 부문 역시 꾸준한 매출로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며 "근래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이차전지 수요 부진 등의 환경에서도 지속적인 투자와 생산 설비 증설을 통해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제이오의 안산 제1공장은 기존 300톤 규모에서 2022년 말 700톤 설비가 추가 증설됨에 따라 연간 총 1000톤의 탄소나노튜브 생산력(CAPA)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안산 제1공장의 신규 700톤 설비에 대한 글로벌 전지사들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연 1000톤의 설비가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돼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안산 제2공장을 통해 연 2000톤 규모의 탄소나노튜브 생산설비(CAPA)를 추가 증설 중인 제이오는 안산 제2공장 증설 완료와 함께 2024년 말 총 3000톤 규모의 탄소나노튜브 생산력을 갖출 계획이다.

특히 2025년부터 회복될 전기차 시장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글로벌 전지사들의 생산 설비 증설이 점진적으로 완료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회사는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생산 설비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안산 제2공장 외에도 추가 증설을 추진해 탄소나노튜브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이차전지의 성능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재 소재로 기존 카본블랙과 비교해 배터리 용량, 충방전 효율, 안정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다. 제이오는 ▲비철계 탄소나노튜브 개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대량 양산 ▲소수벽 탄소나노튜브 개발 등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에 더해 회사는 음극 도전재용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한 개발에 성공하며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탄소나노튜브 제품 풀 라인업(Full Line up)을 갖추고 있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글로벌 전지사들과 시장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제품으로 실리콘 음극재가 본격적으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이오 관계자는 "제이오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소수벽 탄소나노튜브가 한국∙미국∙유럽∙중국∙일본 등 전세계 이차전지 고객사들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개화하고 있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시장에도 진출하는 만큼 앞으로도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어 "작년 하반기에 이어 최근 글로벌 신규 고객사를 추가 확보한 당사는 앞으로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공급 확대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면서 혁신적인 탄소나노튜브 제품을 통해 이차전지 핵심 소재 전문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