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코아스템켐온, 주가 급락…교환청구권 행사로 74만주 풀린다

2024-04-19 06:50:16

코아스템켐온, 주가 급락…교환청구권 행사로 74만주 풀린다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코아스템켐온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락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코아스템켐온 주가는 종가보다 5.12% 내린 1만20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아스템켐온의 시간외 거래량은 2만7095주이다.
이는 코아스템켐온의 보통주 물량이 풀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일 코아스템켐온은 교환사채의 교환청구권 행사로 보통주 73만9563주가 풀린다고 공시했다.

이는 코아스템켐온의 발행주식 총수 대비 2.25%에 해당한다.

코아스템켐온은 "교환된 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예탁되어 있는 당사 자기주식으로 신주발행은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코아스템켐온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이는 최근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가 2022년 9월 FDA로부터 루게릭병 치료제로 승인받은 '렐리브리오'의 철수 결정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제약사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Amylyx Pharmaceuticals, 이하 아밀릭스)'가 자사의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치료제 '렐리브리오(Relyvrio)'의 자발적 철수 절차를 시작했다.

해당 제품은 지난 2022년 9월 FDA로부터 성인 루게릭병 환자 치료제로 승인받은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렐리브리오의 승인 과정에서 FDA 자문위가 1차 심의 승인 반대를 의결했으나, 루게릭병 환자들의 요청으로 2차 심의에서 '확증임상 실패시 시장철수'라는 조건 아래 승인 권고를 결정했다.

하지만 지난 3월 발표된 대규모 임상 3상 시험 결과, 렐리브리오가 48주 후 참여자의 호흡, 삼키기, 말하기, 능력을 측정하는 ALS 기능 척도 개선에 위약보다 나은 성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환자들이 보고한 삶의 질과 생존 및 호흡 기능 역시 크게 향상되지 못한 것으로 도출됐다.

아울러 아밀릭스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루게릭병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 결과를 계속 평가하고 공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약 70%에 달하는 인력 감축에 이어, 희귀 신경퇴행성 질환인 '볼프람 증후군(Wolfram syndrome)', '핵상마비(Supranuclear Palsy)', 다른 파킨슨병 치료제와 관련된 연구에 우선적으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루게릭병 시장을 노릴 차기 신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코아스템켐온이 보유한 중간엽줄기세포 기반 재생치료제 ‘뉴로나타-알주’도 주목받는 신약 중 하나다.

회사 측은 뉴로나타알과 리루졸의 병용요법으로 미국 내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오는 10월 해당 병용임상의 투약이 종료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그 최종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코아스템켐온에 따르면 뉴로나타-알는 세포 내 항염증성 환경을 재조성하는 방식으로 운동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사 측은 2014년 뉴로나타-알주의 국내 출시에 성공한 이후 처방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약물이 렐리브리오나 칼소디 대비 수명연장 효과가 약 5배 긴 67개월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