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제이시스메디칼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제이시스메디칼 주가는 종가보다 3.82% 오른 1만22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제이시스메디칼의 시간외 거래량은 35만644주이다.
이는 미용의료기기 관련주들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한데 이어 2분기 성수기에 접어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미용의료 기업 실적은 대부분 전년 대비 성장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돌거나 부합했다.
미용의료기기 '대장주' 클래시스는 1분기 매출 504억원·영업이익 265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9%·33% 증가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해외의 경우 집속초음파(HIFU)·모노폴라 고주파(RF) 장비 소모품 매출이 모두 증가했고, 전체 소모품 매출은 2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
최근 RF 피부 리프팅 장비 '볼뉴머'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만큼 수출이 본격화 시 해외 매출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제이시스메디칼은 1분기 매출 440억원·영업이익 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1%·16.4% 증가했다.
RF 장비 '포텐자'와 신제품 '덴서티' 총판매량은 국내 140대·해외 247대 등 총 387대로, 성수기인 직전 4분기(393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비올도 1분기 매출 112억원·영업이익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7%·38.6% 성장했다. 미국 의료기기 업체 세렌디아로부터 수취한 마이크로니들 RF 원천기술 특허 침해 관련 ITC(국제무역위원회) 소송 합의금 일부가 반영됐다.
미용의료기기 관련주의 1분기 실적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건 올해 수출 확대로 고환율 수혜를 누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어서다.
지난해 하반기만 해도 해외 미용의료기기 업체인 인모드가 2024년 연간 가이던스(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우려가 커졌지만, 올해 국내 기업들은 수출에서 성과를 내며 예상보다 선전할 것이란 예측에 힘이 실린다.
김지은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 미용기기 업체들은 올해 수출 확대와 소모품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이 확인되면서 다시 한 번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분기부터 성수기에 돌입하며 주가 반등 흐름이 강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여름 휴가를 앞두고 시술 수요가 늘어나고 해외 수출 라인업이 확대되며 매출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클래시스는 올해 고주파(RF) 피부 리프팅 장비인 ‘볼뉴머’를 태국과 브라질에 론칭했으며, 지난달에는 해당 장비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해 수출 본격화를 눈앞에 뒀다. 내년 초에는 유럽 내에서 초음파(HIFU) 2세대 리프팅 장비인 슈링크 유니버스 허가도 이뤄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제이시스메디칼은 지난해 출시한 비침습 고주파 리프팅 장비인 ‘덴서티’가 성장을 이끌 것이란 의견이 제기된다.
미국 파트너사 리빌 레이저(Reveal Laser)를 통해 올해 7월까지 덴서티 최소주문수량 150대 수요를 충족하고, 일본에서도 지난해 12월에 장비를 선보였다.
파마리서치는 올해 스킨부스터 ‘리쥬란’의 호주와 남미 지역에서 신규 수출에 나선다. 원텍은 주력 제품인 고음파 타이트닝·리프팅 장비 ‘올리지오’가 태국 중심으로 수출을 확대하는 가운데, 연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승인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의 올해 2분기 성수기 진입에 따라 실적 호조 기대감이 유효하다”며 “금리 인하 지연에 따라 헬스케어 섹터 내 의료기기 업종 선호도도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