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HLB이노베이션, 주가 급락…美 FDA '리보세라닙' CRL 요청

2024-05-21 06:23:47

HLB이노베이션, 주가 급락…美 FDA '리보세라닙' CRL 요청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HLB이노베이션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락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HLB이노베이션 주가는 종가보다 2.11% 내린 302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B이노베이션의 시간외 거래량은 4만3366주이다.
전일 HLB 주가가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HLB이노베이션과 HLB바이오스텝, HLB파나진 등 그룹주들이 반등에 성공했다.

앞서 HLB그룹주들은 항암신약 '리보세라닙'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받았다는 소식에 지난 17일 일제히 하한가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HLB이노베이션은 전 거래일 대비 320원(11.57%) 오른 308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외에도 HLB바이오스텍(4.09%), HLB파나진(2.76%), HLB테라퓨틱스(2.40%)가 장 초반 하락세를 딛고 상승 마감했다.
이에 상장된 HLB그룹주 8곳 중 4개사가 상승했다. 반면 대장주인 HLB는 이틀 연속 하한가(-30%)를 기록했다.

HLB그룹주들은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간암 대상 1차 치료제가 미 FDA으로부터 CRL을 받았다는 소식에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낸 바 있다.

지난 17일 진양곤 HLB 회장은 FDA로부터 CRL을 받았다고 밝혔다.
진 회장은 "리보세라닙 관련 이슈는 없으나 캄렐리주맙과 관련한 이슈가 있었는데 답변이 충분치 않았다는 지적이 있었다"면서 "캄렐리주맙 제조공정이 FDA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FDA가) 임상을 진행한 주요 임상기관을 확인하는 실사가 있는데, 임상에 참여한 백인 비율이 높았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이라 실사를 갈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HLB는 자사의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을 병용하는 요법으로 간암 1차 치료제를 개발해 왔다. 지난해 5월 16일(현지시간) FDA에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했다.

CRL은 FDA가 승인을 위해 의약품 허가신청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 회사에 보내는 보완요청공문을 말한다.

이런 CRL은 일반적으로 임상 실패를 의미하지 않는다. 제약업계에서는 CRL을 받은 후 수개월 뒤에 수정 요구를 보완해 미국 FDA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은 사례를 쉅게 찾아볼 수 있다.

HLB는 FDA가 지적한 사안을 가능한 한 빨리 수정·보완해 NDA를 다시 제출하겠다는 계획이다. FDA는 6개월 내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