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대창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락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대창 주가는 종가보다 1.86% 내린 1843원에 거래를 마쳤다. 대창의 시간외 거래량은 27만4008주이다.
국내 구리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고공행진을 벌이던 구리 선물 가격이 하락하면서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구리 선물 가격은 t당 1만409달러를 기록하며 약 4% 하락했다.
구리가격은 최근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급등세를 보였다. 지난 20일에는 사상 최고가(t당 1만857달러)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중국 구리 제련소들이 감산을 예고한 데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력 인프라 투자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겹치며 구리 가격은 올해에만 27.12% 올랐다.
다만 구리가격에 거품이 끼었다는 경고가 나온다. 일부 전문가는 현재의 구리 가격이 실제 수요를 크게 뛰어넘은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가장 큰 이유는 구리 재고가 줄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상하이선물거래소(SHFE)에 따르면 17일 기준 구리 재고는 29만1020t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4만9483t)보다 두 배가량으로 늘어난 규모다. 구리 재고는 지난달 26일부터 3주 연속 증가하는 추세다.
중국 구리 수입 프리미엄은 1년 전 t당 27달러 선에서 현재 0달러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이다. 옥지희 삼성선물 연구원은 “계절적으로 구리 수요가 강한 2분기에 접어들었지만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수요는 증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구리 공급량은 여전히 많은 상황이다. 지난 3월 중국의 제련소 13곳은 올해 생산량을 계획보다 5~10%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은 세계 정제 구리 공급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국가다. 이 같은 소식에 글로벌 구리 가격은 천정부지로 뛰어올랐다. 하지만 지난달 중국의 정제 구리 생산량은 114만7000t으로 오히려 전년 동기 대비 7.9% 늘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는 투기적 매수세까지 가세한 상황”이라며 “단기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했다.
한편 최근 구리 가격 급등에 따른 수혜주로 대창이 거론되고 있다.
대창은 구리를 사용해 황동봉을 제조하는 업체로 반도체, 전기, 전자부품, 자동차, 선박, 산업용 기계류 등의 다양한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