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디지털대성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시간외 매매에서 디지털대성 주가는 종가보다 3% 오른 7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올해 고3 학생들에게 적용할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승인하면서 27년 만의 의과대학 증원이 확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대를 포함하면 내년 의대 모집인원은 4567명으로 1509명 늘어나게 됐다.
대교협은 24일 서울 중구 콘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올해 제2차 대입전형위원회를 열어 전국 39개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포함한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원안대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올해 치러질 2025학년도 의대(의전원 포함) 모집인원은 전년(3천58명) 대비 1천509명 늘어난 40개 대학 4천567명이 된다.
경기도 소재 차의과대의 경우 대입전형 시행계획 제출 의무가 없는 '의학전문대학원'이어서 이날 승인에서 제외됐지만, 이미 학교 측이 학칙을 개정해 정원을 40명 늘려 2025학년도부터 모집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위원들은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사항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대입전형위원회 위원장인 오덕성 우송대 총장은 "교육부에서 결정한 정원 조정 계획에 대해서 어떻게 (입학)사정을 시행할지 입학전형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라며 "지역인재전형, 또 가급적이면 융통성 있게 학생들을 뽑을 수 있는 방법 중심으로 각 대학에서 올라온 안건에 대해서 전원 찬성하고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의대 정원이 늘어난 것은 1998년 이후 27년 만이다.
앞서 정부는 3천58명인 의과대학 정원을 5천58명으로 2천명 늘리기로 하고, 전국 40개 의대 가운데 서울지역을 제외한 경인권과 비수도권 32개 의대에 이를 배분했다.
하지만 의료계의 거센 반발과 의대 교육의 질 저하 우려가 일자 정부는 각 대학이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분의 50~100%를 자율모집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대학들은 올해 입시에서 증원분 2천명 가운데 1천509명만 모집하기로 하고, 지난해 이미 발표한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의대 증원분을 반영해 '변경사항'을 대교협에 제출했다.
교육부와 대교협은 아직 각 대학이 누리집에 수시 모집요강을 공고하지 않은 만큼, 각 대학의 정시·수시모집 비율 등 세부적인 내용은 이달 30일 발표하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대학이 이달 25일부터 31일까지 홈페이지에 모집요강을 올리는 절차가 남았다"며 "일단 모집요강이 공고되면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학부모 때문에 이를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소식에 메가엠디, 아이비김영, NE능률, YBM넷, 메가스터디교육, 디지털대성 등 교육주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의대 열풍'이 거세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디지털대성 주가도 오름세다.
강남대성 '의대관'을 운영 중인 호법강남대성기숙학원 지분 50%를 취득하면서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기업가치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호법강남대성기숙학원은 최상위권 전용 강남대성 의대관을 운영 중"이라며 "6월 중 약 40% 규모의 수용인원 증설을 완료하고 나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기여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대성은 지난 3월29일 309억원을 투자해 사설 모의고사 전문 업체인 이감 지분을 추가로 취득했다. 디지털대성이 확보한 이감 지분율은 84%다.
디지털대성은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및 관계사와의 시너지 창출 목적이라고 지분 추가 취득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고등 부문 온라인 강의료 인상을 통해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의대 입학정원 확대 분위기와 맞물려 의대 진학을 위한 수험생의 기숙학원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