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큐알티, 주가 급등…50억 규모 자사주 매입 나선다

2024-05-27 05:10:31

큐알티, 주가 급등…50억 규모 자사주 매입 나선다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큐알티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시간외 매매에서 큐알티 주가는 종가보다 2.39% 오른 2만1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큐알티의 시간외 거래량은 4382주이다.
이는 큐알티가 자사주 매입에 나서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큐알티는 5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을 체결한다고 24일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11월 22일까지다.

한편 올해들어 큐알티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생성형 AI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LLM과 같은 거대모델들을 고성능 및 저전력으로 가속하는 AI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최근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AI 반도체의 신뢰성 및 품질확보가 중요한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곽민정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반도체는 수백개의 공정을 거쳐 출시된다"며 "필수적인 공정이 극한 환경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신뢰성 평가"라고 소개했다. 이어 "대다수 반도체 제조사는 자체 신뢰성 기준을 마련해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며 "제품 다각화에 따른 신뢰성 평가 외주화로 인해 큐알티 실적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높은 테스트 난이도를 요구하는 HBM이나 온디바이스, NPU, CXL 등 신규 반도체 관련 제품 연구 개발 및 양산 비중 증가는 필연적으로 큐알티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HBM이나 DDR5, CXL 등 기존 D램 대비 속도가 빠른 메모리는 열이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뢰성 평가 난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곽 연구원은 "반도체 공정 미세화에 따른 불량 비중이 높아지면 필연적으로 불량 분석을 통한 신뢰성 평가 중요성이 커진다"며 "제품 불량 원인을 찾아내고 개선 솔루션을 제시하는 종합 분석과 5G용 RF 반도체 수명 평가 장비를 독자 개발해 고객사가 양산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올해 매출액 740억원, 영업이익 128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7.0%, 591.9% 늘어난 규모다. 곽 연구원은 "실적 개선 이유는 HBM, CXL, NPU 등 신규 반도체에서의 신뢰성 평가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며 "ASP 역시 하이엔드 위주로 높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큐알티는 2022년 11월 상장한 이후로 '시가총액 1조원'을 목표로 달리고 있다. AI 반도체 시대가 열리면서 기회가 찾아오고 있다. 큐알티는 AI 반도체 전문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리벨리온과 지난해 11월 MOU를 체결했다. 리벨리온이 개발하는 AI 반도체의 정밀한 신뢰성 평가와 종합분석을 담당하기로 했다. 광교비전캠퍼스 2층에 리벨리온과 함께 AI 칩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실(LAB)도 마련했다.

국내외에서 주목받은 리벨리온은 최근 IBM과 AI 반도체 도입을 위한 성능 평가를 시작했다. 세계적 정보기술(IT) 업체에서 국내 AI 반도체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를 통과하면 전 세계를 상대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IBM의 여러 데이터센터에 장착된다.

리벨리온이 개발하는 차세대 제품은 삼성전자와 협력해 생산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4나노미터(㎚) 공정을 통해 해당 제품을 제조하고, 함께 탑재되는 'HBM3E(5세대)' 역시 동시에 제공한다. 리벨리온과 삼성전자는 2024년 하반기까지 신제품 개발을 마칠 계획이다.

리벨리온은 슈퍼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거대언어모델(LLM)용 AI 반도체 '리벨'을 개발하고 있다. 오픈AI의 'GPT'나 구글의 '바드', 메타의 '라마' 같은 거대 AI를 구동한다. 리벨리온은 엔비디아의 슈퍼AI 반도체 H100을 뛰어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