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HB테크놀러지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HB테크놀러지 주가는 종가보다 3.79% 오른 3290원에 거래를 마쳤다. HB테크놀러지의 시간외 거래량은 51만9717주이다.
이는 미국 소재 기업 코닝이 차세대 반도체 기판으로 꼽히는 유리기판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한국 투자 50주년을 맞은 코닝은 국내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첨단 유리 제조 업체다.
반 홀 코닝 한국 총괄사장은 29일 서울 강남구 코닝 서울사무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유리기판을 비롯한 건축 유리 사업 등 한국 사업 전략과 계획을 소개했다.
D램의 웨이퍼 박막화 등 반도체 공정에 유리를 공급 중인 코닝은 반도체 패키징 공정의 유리기판 분야 진출을 위해 글로벌 업체들과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리 소재를 기판에 사용하면 더 복잡한 설계가 가능해지고 전력 효율·내구성이 증가해 초미세 선폭 반도체 패키징 구현이 가능하다.
충남 아산에 연구개발(R&D)과 제조 시설을 모두 두고 있는 코닝은 유리기판을 국내에서도 생산하고 있다. 홀 총괄사장은 “코닝은 실제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유리를 적용하는 데 필요한 준비를 마치고 고객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특히 고성능 칩에 필요한 첨단 칩 패키징 구현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패키지 기판으로 널리 쓰이는 유기소재 기판을 유리 기판으로 대체하면, 치수 안정성, 폼팩터 유연성, 기계적 특성 등 여러 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유리 기판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했다.
코닝은 또 지난해 한국에 세계 최초로 차세대 초박막 벤더블(휘어지는) 글라스 제조 공급망을 구축했다. 벤더블 글라스는 휘어지는 유리 소재로, 폴더블 스마트폰이나 자동차용 유리 등에 쓰인다.
코닝은 삼성전자의 ‘Z폴더블’ 시리즈 휴대폰에 이 벤더블 글라스를 공급하고 있다. 코닝은 벤더블 글라스 공급망 구축에 2028년까지 총 15억달러(약 2조원)를 투자해 한국에 벤더블 글라스 공급망을 구축하고 최신 기술을 위한 퓨전 공정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첨단 제조 능력을 확대해 제조의 글로벌 허브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코닝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기업들이 모여있는 한국 시장을 글로벌 연구개발 거점으로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에 임직원 3000여명을 두고 있다.
홀 사장은 “아산 사업장에 있는 코닝 테크놀로지 센터 코리아는 코닝이 보유한 최대 규모 R&D 센터 중 하나”라며 “코닝 전사 차원의 대규모 R&D 네트워크의 일부분으로, 직접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면서 여러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851년 설립돼 올해로 173년째를 맞이한 코닝은 1973년 삼성과 합작해 브라운관 유리 업체 삼성코닝을 설립하면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홀 총괄사장은 “코닝은 지난 50년간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했으며, 앞으로의 50년에도 수많은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며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한다는 점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앞으로 다가올 50년도 한국에서 새로운 기술과 기회를 창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소식에 국내 유리기판 관련주들과 제이티가 주목받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유리기판 관련주에는 삼성전기, SKC, 기가비스, 주성엔지니어링, 이오테크닉스, 필옵틱스, HB테크놀러지,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등이 존재한다.
신한투자증권은 HB테크놀러지에 대해 올해 글라스기판 첫 공급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HB테크놀러지는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반도체 부문에서 검사·리페어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제조 전문업체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내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기존의 검사 능력을 기반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신규 어플리케이션 다각화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글라스 기판에서도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현재 반도체 업체 중에서 인텔과 AMD가 글라스기판 도입에 적극적이며, 삼성전기, SK앱솔릭스, LG이노텍 등 주요 기판 업체들도 글라스기판 부문을 확대하고 있다"며 "2024년 파일럿 양산용 글라스기판 검사·리페어 장비 3대를 이미 납품했으며, 2025년 고객사의 생산능력(Capa) 증설에 따라 글라스기판향 매출은 최대 1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정 난이도가 높은 글라스기판의 경우 검사·리페어 장비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 기존 어플리케이션 대비 영업이익 기여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반도체 부문의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체질 개선 및 고수익성 제품의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도 나타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이 외에 반도체 검사장비 기업인 제이티는 지난 2020년 코닝에 울트라신글래스(UTG) 레이저 커팅장비를 납품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장비는 레이저를 사용해 UTG 공정에 사용하는 글래스 원장을 자동으로 커팅하는 장비로, 유리기판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