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FSN, 주가 급등…美 '틱톡금지'에 구글 반사수혜 전망

2024-06-25 05:01:30

FSN, 주가 급등…美 '틱톡금지'에 구글 반사수혜 전망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FSN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FSN 주가는 종가보다 2.02% 오른 1868원에 거래를 마쳤다. FSN의 시간외 거래량은 1762주이다.
이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에서 강제 매각 위험에 직면하면서, 틱톡을 홍보 수단으로 활용해온 광고업계도 대책을 준비하는 등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틱톡의 최대 광고주들을 대표하는 대행사들이 내년에 미국 광고시장에서 틱톡이 사라지는 상황에 대비해 비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틱톡의 전 세계 사용자는 10억명 이상이며, 미국에서는 1억7천만명가량이 이용한다. 기업들은 텔레비전 등 전통매체 이용 시간이 적은 젊은 층을 겨냥한 광고에 틱톡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틱톡의 지난해 미국 시장 매출은 160억 달러(약 22조원)가량이며, 대부분은 광고 판매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지난 4월 미국에서 제정된 틱톡강제매각법에 따르면 바이트댄스(틱톡 모회사)가 270일(대통령이 90일 연장 가능) 내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가 금지될 예정이다. 이는 틱톡과 중국 정부의 연관성으로 인해 미국 국가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한 광고업체 관계자는 틱톡 금지 위협만으로 이미 일부 브랜드의 광고비 지출에 냉각 효과가 있다면서, 실제 틱톡 서비스가 금지되는 상황에 대비해 마케팅 계약 시 '계약 종료' 조항을 넣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고업계는 미디어 플랫폼과 광고 계약 시 노출도 높은 자리를 확보하거나 할인을 받기 위해 어느 정도의 광고비를 즉시 집행하기로 약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만일의 상황에서 이에 따른 재정 지출을 피할 방안을 강구 중이라는 것이다.
그는 "조금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어디에 광고할지 모르는 게 아니다. 단지 현시점에서 틱톡이 가장 큰 곳일 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른 광고대행사 관계자는 금지 위협으로 인해 광고주들의 계획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다른 소셜미디어 플랫폼들이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무슨 일이 생길 경우 우리는 높은 수준의 긴급계획을 갖추고 있다"면서 "시청자들이 어딘가로 갈 텐데, 우리의 투자도 이들을 따라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미디어 투자업체 그룹M도 최근 "틱톡이 금지된다면 광고 매출이 메타의 릴스와 유튜브 쇼츠 등 다른 비디오 플랫폼으로 옮겨갈 것으로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코스닥 상장사 FSN은 자회사 마더브레인이 2024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이다.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는 구글 파트너 프로그램 중 최고 등급으로 기존 고객 성장, 신규 고객 증가, 고객 유지, 제품 다각화, 연간 광고비 지출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뒤 각 국가별 상위 3% 기업에만 자격을 부여한다.

구글은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및 유용한 정보 ▲인증 및 리워드 ▲이용 및 지원 항목에 맞춰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구글 프리미어 파트너의 경우 연례 업계 보고서, 프로모션 코드, 전담 계정 지원 등 다른 등급과 차별화된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