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증권·금융

최근 1년간 금투세·상속세 국민 관심도 급등…"특히 금투세엔 부정적"

2024-08-02 07:30:00

자료=데이터앤리서치 제공 (이하 동일)
자료=데이터앤리서치 제공 (이하 동일)
[빅데이터뉴스 한시은 기자] 지난달 30일 윤 대통령이 금융투자소득세를 폐지하고 상속세 부담을 낮추겠다는 세제 개편 방침을 밝힌 가운데, 최근 2년간 금투세와 상속세에 대한 온라인 관심도 추이를 살펴봤다.

분석 결과, 금투세·상속세에 대한 투자자 등 국민들의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부정적인 내용이 많았다.
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금투세·상속세에 대한 관심도와 호감도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최근 1년간(23.08~24.07) 금투세에 대한 온라인 포스팅 수(관심도)는 20만4,794건을 기록, 직전 1년(22.08~23.07) 8만3,076건 대비 12만1,718건, 146.51% 급증했다.

상속세 키워드 포스팅 수도 최근 1년간 32만921건으로 나타났다. 직전 1년 18만9,742건에 비해 13만1,179건, 69.14% 늘어난 수치다.

이번 분석을 통해 투자자들은 금투세와 상속세에 대해큰 관심을 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1년간 금투세·상속세 국민 관심도 급등…"특히 금투세엔 부정적"
한편, 데이터앤리서치는 금투세·상속세에 대한 호감도 조사도 실시했다.

금투세·상속세의 최근 1년간 호감도는 직전 1년에 비해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정률이 긍정률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최근 1년간 금투세 관련 긍정률은 19.28%, 부정률 37.97%로,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18.68%를 기록했다. 직전 1년 -23.88%에 비해 5.20%P 상승한 것이다.
온라인에서 금투세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 시각이 소폭 늘었으나, 여전히 긍정률보다 높은 부정률을 기록중이다.

금투세 관련 부정적인 글을 살펴보면, 7월 클리앙의 한 유저는 금투세 시행에 대해 "시행하기로 법안을 통과 시켰으면 법안을 촘촘히 준비하던가 세금이 글로벌 스탠다드하다고 얘기할거면 여러가지 제도를 정비, 보완하던가 해야지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데 시행하려고 하니 안타까울 따름"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같은 달 개인투자자인 한 블로거는 투자 후기에 대한 글을 올리며 "일본이 금리만 올려도 자금이 빠져나가는 시장에 금투세까지 도입하면 수영장에 물을 빼면서 열심히 수영하라고 하는 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 시장부터 만들고 금투세를 매겨야지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금투세를 적용하는 것은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다리가 찢어지는 경우"라고 의견을 밝혔다.
최근 1년간 금투세·상속세 국민 관심도 급등…"특히 금투세엔 부정적"
같은 기간 온라인에서 상속세에 대한 호감도를 살펴본 결과, 최근 1년간 상속세 관련 긍정률은 37.84%, 부정률 26.86%, 순호감도 10.98%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1년 긍정률 43.61%, 부정률 23.79%, 순호감도 19.83%에 비해 호감도가 8.85% 낮아졌다.

상속세 관련 온라인 반응을 보면, 올해 7월 디시인사이드의 한 유저는 '상속세는 이중과세 악법임'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이미 소득세를 내는데 상속세 증여세는 왜 뜯어가냐며 국가가 민생을 살펴야지 부를 수탈해가는게 말이되냐"고 물었다.

같은 달 MLB파크에는 세금이 정말 쓰여야 할 곳에 못쓰이니 불필요한 세수를 줄일 수가 없다며 25만원 지원법 등 때문에 상속세 논란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로 호감도는 한 두건의 이슈만으로도 수치가 크게 변할수 있는데다 포스팅 내에 ‘잘한다, 좋다, 칭찬’ 등의 긍정적인 뉘앙스를 지닌 키워드가 많으면 긍정문, ‘싫다, 짜증, 별로다’ 등의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키워드가 많으면 부정문으로 분류되지만 이들 단어가 해당 포스팅 내 금투세나 상속세를 지칭하지 않고 우연히 함께 포스팅 되는 경우들도 있으므로 호감도는 참고자료로만 감안하면 된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