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한국거래소가 이렘에 투자경고종목 지정을 예고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거래소는 장 마감 후 이렘에 대해 "다음 종목은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어 21일(1일간)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되니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이렘이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를 받은 사유는 ▲20일의 종가가 5일 전일의 종가보다 60%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향후 이렘은 투자경고 지정 예고일로부터 10거래일 안의 특정한 날에 ▲종가가 5일 전일의 종가보다 60% 이상 상승 ▲종가가 당일을 포함한 최근 15일 종가중 가장 높은 가격 ▲5일 전날(T-5)을 기준으로 한 해당종목의 주가상승률이 같은 기간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의 5배 이상일 경우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 단계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최근 이렘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이렘은 관계사 엑스알비(XRB)가 국내 발전공기업 H사와 신재생 에너지 연계용 ESS(에너지저장장치) 관련 실증·상용화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리튬전지를 대체하고, 화재·폭발 위험을 원천 차단해 에너지 신사업 토대를 마련한다.
엑스알비의 VRFB(바나듐 레독스 플로 전지)는 기존 국내외 업체들의 RFB(레독스 플로 전지) 대비 단위 셀당 2·4배 높은 수준의 고출력(High Power) 성능을 자랑한다.
엑스알비는 H사와 바나듐 배터리 기반 장주기·정체형 단주기의 하이브리드형 ESS 공동개발·실증에 대한 협의를 끝내고 내달 1일부터 프로젝트를 본격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서 100㎾/800㎾h급 고출력 XRB 배터리를 통해 새로운 운전모드 개발·실증에 나선다. 실증이 끝나면 국내 발전공기업의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부와 함께 ESS 관련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번 사업의 목적은 장주기·단주기 자동전환 하이브리드로 최적의 지능형 ESS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신재생 에너지 장주기 에너지 저장을 통한 송전 인프라 구축비용 이슈 해결 ▲전기 저장 판매 사업의 안정적 인프라 구축 ▲리튬전지를 대체해 화재·폭발 위험 원천 차단 ▲전기차 충전·데이터센터·대형 건물 UPS(무정전전원장치) 등 에너지 신사업의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전해질 누출 없는 결체형 프레임 구조로 1000사이클 충방전 이후의 성능 저하율을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2배까지 개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Data 기반의 AI·ML(통합인공지능) 기술을 ▲VRFB BMS(배터리관리시스템) ▲PMS(전력관리시스템) ▲EMS(에너지관리시스템) ▲PCS(전력변환장치)까지 연계 적용해 최적의 XRB-ESS를 운영할 계획이다.
프로젝트 이후의 활용 방안으로는 H사의 MSP 사업부에서 신재생 에너지 연계용 및 IDC센터·대형 빌딩용 1㎿h 이상의 UPS·실내 컨테이너형 ESS 설치 운영 사업을 진행하고, ESS를 상품화해 고객 맞춤형의 지능형 ESS 설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국내 레퍼런스를 이용해 해외 시장도 적극 공략한다.
2단계 공동연구를 통해 실내용 컨테이너형 XRB 스택 단주기 SVRB(정체형 바나듐 레독스 전지)-ESS를 국내외 데이터센터·대형 빌딩 등의 1㎿h 이상 UPS 수요처를 발굴할 예정이다.
이어 실내 컨테이너형 SVRB ESS 설치·운영으로 MSP 사업 다각화 기술·사업 방안에 대해 공동 협력할 계획이다.
MSP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발 시스템 오류 사태로 주목받는 서비스다. 고도화된 생성형 AI(인공지능)에 따라 데이터센터와 함께 각광받고 있다.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는 신재생 에너지·ESS 보급 확산을 위한 서비스 사업자를 뜻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