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퀀텀온, 주가 급등…"양자컴퓨터 수출통제해야" 美 규제 동참 촉구

2024-09-11 03:48:07

퀀텀온, 주가 급등…"양자컴퓨터 수출통제해야" 美 규제 동참 촉구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퀀텀온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퀀텀온 주가는 종가보다 6.73% 오른 714원에 거래를 마쳤다. 퀀텀온의 시간외 거래량은 1만7442주이다.
이는 미국이 양자컴퓨터 등 첨단기술 관련 수출통제를 확대한 가운데 한국에도 유사한 조치를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앨런 에스테베스 상무부 산업안보차관은 1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무역안보관리원(옛 전략물자관리원) 주최 '2024 한미 경제안보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에스테베스 차관은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이 지난 5일 발표한 양자컴퓨터·반도체제조 등 첨단기술 관련 수출통제 조치 개정안을 언급하며 "더 많은 국가들이 그렇게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통제는 다자간 방식으로 논의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우리는 한국도 이러한 수출통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하기를 희망한다"며 "이러한 규칙과 관련한 국제적인 공조는 공통된 국가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최근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며, 동일한 수출통제를 시행 중인 국가에는 통제품목을 허가 없이 수출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뒀다.

한국은 이러한 수출통제 조치를 시행하고 있지 않아 예외를 적용받을 수 없다. 다만 바세나르 체제 회원국인 만큼 허가 신청을 해 승인을 받으면 수입이 가능하다.

미국은 한국 역시 동일한 수출통제를 도입하길 원하고 있으나, 한국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국제수출통제체제에서 합의된 품목 외에는 독자 통제가 불가능했던 대외무역법을 개정했고, 내달까지 시행령 개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법령 개정이 마무리되면, 이후 미국이 요구하는 수출통제 조치 관련 검토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소식에 양자 관련 종목들이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퀀텀온은 최근 주주총회를 열고 양자배터리 및 전기차 관련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했다. 지난달에는 서울대 전력연구소와 양자배터리 기술 확보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도 밝혔다.

이 계약을 통해 퀀텀온은 세계최초로 양자배터리(퀀텀배터리)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플랫폼 개발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배터리 개발을 통해 신규사업 및 매출 증대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퀀텀온 관계자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중심으로 향후 서철헌 교수(숭실대학교), Weng Chew 교수(Univ. Illnois at Urbana) 등과 같은 국내외 전문가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전류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존 배터리 대신에, 양자얽힘과 초흡수 같은 양자효과와 빛을 이용하여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다"라며, "초고속 충전 속도와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가 달성이 가능하고 에너지 밀도에 한계가 없는 양자배터리의 실현 가능성을 증명하고 관련 기술을 선점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탈바꿈을 준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