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종합

바이오톡스텍, 주가 급등…치매약 'AR1001' 기술수출 성과 '현실화'

2024-10-14 03:54:02

바이오톡스텍, 주가 급등…치매약 'AR1001' 기술수출 성과 '현실화'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바이오톡스텍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일 시간외 매매에서 바이오톡스텍 주가는 종가보다 1.8% 오른 4515원에 거래를 마쳤다. 바이오톡스텍의 시간외 거래량은 5808주이다.
이는 아리바이오가 주력 파이프라인인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의 글로벌 기술수출 작업을 본격화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중국 제약사와 체결한 판권 계약의 업프론트(선급금)가 최근 입금됐다. 단계별 지급이 모두 완료될 경우 진행 중인 AR1001 글로벌 임상 3상이 보다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중국에 이어 중동 및 남아메리카, 아시아지역에 대한 독점 판매 계약 등도 심도 있게 추진하고 있다. 선급금과 마일스톤 등으로 확보된 자금은 AR1001 적응증 확장 및 차세대 파이프라인 개발에 투입할 예정이다.

아리바이오는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중국 측 제약사로부터 이달 초 1차 선급금을 받았다. 1차 집행 규모는 전체 선급금 1200억원의 약 25%, 약 3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앞서 올해 3월 아리바이오는 중국의 한 제약사와 총 7억7000만달러, 한화 약 1조200억원 규모의 판권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중 1200억원을 선급금으로 지급하기로 했으나 중국 정부의 외화 유출 승인 절차 등으로 인해 다소 시간이 소요됐다.

전체 선급금이 모두 지급 완료될 경우 아리바이오의 AR1001 글로벌 임상 3상이 보다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AR1001은 아리바이오의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다중기전 경구용 치매치료제다. PDE-5 억제를 통해 뇌 신경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CREB, 크렙)와 윈트(Wnt)·자가포식(Autophagy) 등을 활성화한다.

아리바이오는 지난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2상 허가를 받은 후 미국 210명의 경증 및 중등증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26주간 2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2022년 4월 FDA와 임상2상 종료미팅을 했고 4분기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2022년 12월 첫 환자, 첫 투약을 시작으로 현재 약 65개 병원에서 대상자 등록 및 투약 중이다.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과 영국, 유럽 7개국(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덴마크, 네덜란드, 체코) 등에서 글로벌 임상을 진행 또는 준비 중이다.

미국 임상의 경우 2025년말까지 환자 모집과 투약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26년 상반기에 톱 라인(주요 지표)을 발표하고 2026년 내 FDA에 신약 허가 신청을 할 예정이다.

아리바이오는 중국뿐만 아니라 중동 및 남아메리카, 아시아 지역에 대한 독점 판매권 계약을 심도 있게 추진 중이다. 글로벌 중견 제약사로부터 계약의향서 (LOI)를 받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에서 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소식에 아리바이오와 치매복합치료제 공동개발에 나선 바이오톡스텍이 주식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바이오톡스텍은 지난 2020년 자사의 항산화제 'BTT-105'과 아리바이오의 AR1001 후보물질을 통해 복합 치매 치료제 ARBT01 개발을 진행키로 했으며, 임상 주도는 아리바이오에서 진행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