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핫이슈

이수페타시스, 주가 급락…"이해할 수 없어" '제이오 인수' 소통 요구

2024-11-12 08:08:21

이수페타시스, 주가 급락…"이해할 수 없어" '제이오 인수' 소통 요구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이수페타시스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락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이수페타시스 주가는 종가보다 1.22% 내린 2만4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수페타시스의 시간외 거래량은 13만9613주이다.

이는 이수그룹의 정보기술(IT) 소재 계열사 이수페타시스가 탄소나노튜브(CNT) 제조사인 코스닥 상장사 제이오를 3000억원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CNT를 선점하려는 행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수페타시스는 제이오 창업자이자 최대주주인 강득주 대표가 보유 중인 지분 28.32% 가운데 18.1%(575만 주)를 주당 2만7500원, 총 1581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는 지난 8일 종가(2만600원)에 34% 경영권 프리미엄이 반영됐다. 동시에 이수페타시스는 제이오에 1416억원을 투입한다.

유상증자에 참여해 996억원의 신주를 받는 동시에 4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할 예정이다. 인수에 투입된 전체 금액은 2997억원이다.

1994년 설립된 제이오는 2006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2차전지용 CNT 양산에 성공한 업체다.

CNT는 2차전지 배터리 주요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서 전기, 전자의 흐름을 돕는 도전재 역할을 한다.

회사는 연 1000t의 CNT를 생산하고 있고 내년 3000t까지 생산량을 늘릴 방침이다. 지난해 2월 코스닥시장 상장에 성공했다.

이수페타시스는 제이오 인수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 밸류체인을 내재화할 계획이다.

폭발 위험이 적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선 도전재인 CNT가 필수 소재로 꼽힌다.

이수그룹은 계열사인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황화리튬 생산에도 나서며 그룹 차원에서 전고체 배터리 관련 소재 생산망을 구축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다만 이에 대해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라며 "이수페타시스의 주주는 인공지능(AI) 기반 MLB 기판(고다층인쇄회로기판)의 고성장을 공유하기 위한 투자자이지 이차전지 투자자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캐즘(수요 둔화)으로 인해 전기차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으며, 특히 제이오의 주요 고객사는 이로 인한 영향으로 장기 공급 계약이 취소되는 등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제이오 인수 의사 결정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 및 검토 내용, 제이오의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구체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수페타시스는 제이오 인수대금 전액을 주주들로부터 유상증자로 충당하기로 해 주식가치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수페타시스는 제이오 인수를 시간 외 거래 시간인 오후 5시47분께 공시한 데 이어 55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소식을 시간 외 거래가 끝난 오후 6시44분에야 공시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