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빅데이터

[현대그룹 기획①] 현대엘리베이터, 지난해 주가 약세로 호감도↓…남성 관심도 압도적

2023-06-07 09:01:52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이하 동일)
자료 = 데이터앤리서치(이하 동일)
[빅데이터뉴스 최효경 기자] 빅데이터뉴스는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현대그룹 주요 계열사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분석대상 현대그룹 계열사는 현대엘리베이터·현대아산·현대유엔아이·현대경제연구원·현대투자네트워크·반얀트리클럽앤스파서울·불룸비스타 등이며 분석업체는 포스팅 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각 사별 최근 2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와 2022년 호감도 및 포스팅 유저들의 성(性)별, 직업 등의 프로필을 분석하며 이번 회차에서는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합니다. <편집자 주>

현대그룹의 계열사인 현대엘리베이터(017800)는 지난해 주가가 우햐향하면서 관심도와 호감도가 직전연도에 비해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0대와 남성의 관심도가 압도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빅데이터뉴스 의뢰로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해 지난 2021년부터 2022년도까지 연도별 온라인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

최근 2년간 연도별 포스팅 수(정보량=관심도) 분석 결과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021년 총 3만6,786건의 정보량을 기록했으며 1년 중 4월 가장 적은 2,569건을, 10월에 가장 많은 3,907건을 나타냈다.

반면 지난 2022년에는 직전연도인 2021년에 비해 총 정보량이 6.54% 줄어든 3만4,381건을 기록했으며 1년 중 6월 가장 적은 2,065건을, 3월 가장 많은 3,816건을 나타냈다.

정보량 감소이유는 팬데믹 시절엔 집안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온라인에 접할 기회가 많았으나 2022년 들어 엔데믹시대로 서서히 접어든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현대그룹 기획①] 현대엘리베이터, 지난해 주가 약세로 호감도↓…남성 관심도 압도적
데이터앤리서치는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호감도 조사를 실시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021년 긍정률 49.05%, 부정률 6.21%로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42.84%를 기록한데 비해 2022년에는 긍정률 35.61%, 부정률 13.03%, 순호감도 22.58%를 나타냈다.

전년 대비 긍정률이 13.44%P 낮아지고 부정률은 6.82%P 높아지면서 결과적으로 순호감도는 20.26%P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2021년 주가가 6월 5만7,000원대, 8월 5만5,000원대를 보이는 등 활황세를 보였으나 이후 하락세로 접어들면서 2022년 10월에는 2만1,000원대를 찍은 것이 결정적인 이유로 꼽힌다.

지난해 현대엘리베이터와 관련해 긍,부정으로 집계된 정보량을 살펴보았다.

긍정 포스팅으로는 ▲지난해 8월 준법경영 관련 국제 표준 ISO37301 인증 2년 연속 획득 ▲지난해 10월 LGU+와 공동 개발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전국 설치현장 도입 ▲지난해 12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한 엘리베이터’ 주제로 미래 엘리베이터 디자인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지난해 12월 자매결연 경기 여주 누리의 초·중·고교생 대상 2,600만 원 장학금 전달 ▲지난해 12월 소아암 환아 헌혈증서 및 후원금 전달식’을 열고 임직원들이 1년간 모은 헌혈증 255장과 500만 원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에 전달 등의 내용이 많은 언론 뿐만 아니라 네이버 카페, 커뮤니티 등에서 조명받았다.

개인 포스팅으로는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서 "역삼동 케이스퀘어강남2 B2~9층용 현대엘리베이터"라는 제목으로 "이곳은 특이하게 고층용이 180인데 비해 저층용 210M/MIN이야 덕분에 파워풀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음, 어두운색 벽이 고급지게 보임"이라는 포스팅도 게시되었으며 이를 본 또 다른 유저는 "옵션을 던져버리고 성능에 집중했구려"라며 댓글을 달기도 했다.

이 유저는 또 다른 게시물에서 "DGB금융센터 현대엘리베이터"라는 재목과 함께 "엘베홀에 5대가 있는데 1대는 독립운행 나머지는 연동운행이야(12월 중 1대마저 교체끝나면 4대는 연동될듯)예고기능 있음. 외부도 LCD 내부도 LCD 게다가 승차감도 완벽 그 자체. 감동적임"이라고 포스팅하기도 했다.

지난해 4월 '루리웹'에서는 "현대엘리베이터, 세계 3대 디자인상 ‘iF 어워드’ 본상 수상"이라는 내용의 기사가 한 개인에 의해 리포스팅 되기도 했다.

부정 포스팅으로는 지난해 6월 '티스토리'의 한 유저가 "현대엘리베이터 주가 분석"으로 글을 게재했으며 이 유저는 "현대엘리베이는 최근 전쟁으로 인하여 "원자재가 폭등, 건설원가 따라 상승"등의 이슈로 고통받고 있는 종목이다"라고 설명했으며 이어 현대엘리베이터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개인적인 분석과 함께 "연관하여 본다면 그만큼 현대엘리베이의 사업성도 크게 하락중이라 판단할 수 있다"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또한 '디시인사이드'에는 지난해 10월 "서울 양천구 목동 현대월드타워 현대엘리베이터 wc-vf 소방구조용"이라는 제목과 함께 "메인 엘리베이터(hvf-gl)보다 승차감 더 안좋고 속도 느리고 크기도 더 작았음"이라며 해당 엘리베이터의 사진이 게시되었으며 이를 본 또다른 유저는 "알림음이 깡통임"이라고 동조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뽐뿌'의 한 유저는 "현대엘리베이터 개짱나는 점"이라는 제목으로 "집이랑 회사 둘다 현대엘베임.둘다 최근 교체함. 버튼 누를때 버튼 불들어와서 핸폰보고 있으면 엘베 올타이밍인데 안옴. 그제서야 고개들면 안오고 있음"이라고 포스팅했다.

[현대그룹 기획①] 현대엘리베이터, 지난해 주가 약세로 호감도↓…남성 관심도 압도적
현대엘리베이터 채널별 정보량을 살펴본 결과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가운데 지난 2021년에는 '블로그'의 정보량이 가장 많게 나타나는 한편 2022년에는 '유튜브'의 정보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021년 △블로그 1만2,071건 △유튜브 8,253건 △뉴스 7,096건 △카페 6,590건 △커뮤니티 1,974건 △트위터 210건 △기업/단체 208건 △인스타그램 204건 △지식인 81건 △정부/공공 70건 △페이스북 26건 △카카오스토리 3건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2년에는 △유튜브 1만2,117건 △뉴스 9,210건 △블로그 7,657건 △카페 3,039건 △커뮤니티 1,587건 △트위터 372건 △기업/단체 150건 △인스타그램 94건 △정부/공공 79건 △지식인 47건 △페이스북 27건 △카카오스토리 2건 순으로 나타났다.

채널별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유튜브, 뉴스, 트위터,정부/공공 4개 채널을 제외한 8개 채널에서는 지난 2021년보다 2022년 정보량이 더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현대그룹 기획①] 현대엘리베이터, 지난해 주가 약세로 호감도↓…남성 관심도 압도적
지난 2022년 현대엘리베이터의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 프로필을 조사한 결과 여성 작성자 포스팅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 관심도는 자신의 프로필을 드러낼 수 있는 7개 채널에서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여성 관심도는 성별 프로필이 드러난 전체 정보량 대비 자신이 여성임을 밝힌 유저의 포스팅 수의 비율을 집계한 것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196의 정보량 가운데 여성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수가 무려 81.63%를 차지했으며 남성 작성자의 포스팅 비율은 18.37%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성별이 드러난 게시물 중 여성이 올린 글이 2,833만5,859건 75.5%라는 것을 감안하면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남성 관심도는 데이터에 드러난 수치보다는 더 높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마디로 남성 관심도가 압도적이란 뜻이다.

실제로 지난해 남성 유저가 작성한 현대엘리베이터 관련 포스팅 예시로는 지난해 6월 '주식 소개해주는 남자 주소남'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중인 티스토리 블로거가 "현대엘리베이터 주가 언제까지 하락할것인가"라는 글을 게시했다.

이 유저는 해당 글을 통해 현대엘리베이터 종목에 대한 분석과 관련 주를 소개했으며 지난해 현대엘리베이터의 주가 하락 원인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또한 '상*과*의'라는 남성 유저의 트위터에는 "잘나가던 현대엘리베이터 영업적자 왜? 원자재값 상승에 '털썩'…'톱5' 달성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기사가 리포스팅 되었으며 티스토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쭈*아빠'라는 남성 유저는 지난해 현대 엘리베이터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2년도 1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포스팅에서 현대엘리베이터는 "사망사고와 관련된 하도급사"로 거론되기도 했다.

[현대그룹 기획①] 현대엘리베이터, 지난해 주가 약세로 호감도↓…남성 관심도 압도적
현대엘리베이터와 관련해 지난 2022년 10대부터 50대까지 연령별로 드러난 포스팅 작성자를 집계한 결과, 20대 관심도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 향후 기업 비전에 여전히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연령대별 관심도는 포스팅 작성자의 연령이 드러난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블로그 등 7개 채널의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이 드러나지 않은 게시물은 집계되지 않는다.

현대엘리베이터는 457건의 연령별정보량 가운데 20대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 비율이 78.99%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 중 연령이 드러난 게시물이 2,066만9,320건인데 이중 20대가 작성한 것이 1,021만6,735건으로 전체 49.4%인 점을 감안하면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20대의 관심도는 평균보다 29.59%P 더 높았다.

이어 △10대 17.51% △40대 1.75% ​△30대 1.31% △50대 0.4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현대엘리베이터와 관련해 20대 작성자의 포스팅을 살펴본 결과 네이버 취업 정보 공유 카페에서 "현대엘리베이터 근무 관련 질문", "현대엘리베이터 취업 스터디원 모집합니다", "현대엘리베이터 취업 질문 있습니다", "현대엘리베이터 생산직 필수 자격증이나 경력 있나요?" 등 현대 엘리베이터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많은 20대 청년들의 포스팅이 나타났다.

또한 '저세상엘베'라는 이름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한 20대 유튜버는 자신의 유튜브에 부산시 지역의 많은 현대엘리베이터를 직접 타보며 승강기 정보와 설치일, 후기를 공유하는 영상을 게시하기도 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현대엘리베이터 주가가 올들어 지속 상승하면서 관심도와 호감도도 높아지고 있다"면서 "사실상 B2B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개인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재 줄이기 등에 힘을 더 기울인다면 미래 성장성은 더 밝을 것으로 데이터상 확인되고 있다"고 전했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