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학술행사

우주 데이터, 새로운 빅데이터 주체로 '급부상'

2017-09-28 10:33:00

[빅데이터뉴스 이승주 기자] 기술적 진보와 인공위성 제작비용 하락으로 인해 그 어느때보다도 많은 기업들이 우주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기를 희망하면서 우주 데이터가 급부상하고 있다.

스팍스&허니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다국적기업들과 억만장자들이 앞다투어 우주관련 데이터 수집에 나서고 있다. 인공위성 제작 및 사용 비용이 최근 몇 년간 급격히 하락하면서 우주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Shutterstock)
사진= 셔터스톡(Shutterstock)
이 부분은 특히 농업에서 두드러지는데 위성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한 기간의 작황이나 기상 데이터 및 홍수나 지반침하에 관한 위험까지 높은 정확도로 예측 및 분석이 가능하다. 이 점을 활용하여 대규모로 작물을 재배하는 기업들의 향후 리스크 관리 및 재배지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매업에서는 위성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쇼핑센터의 방문객 추적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 및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스팍스&허니 보고서에서 “Overview”(오버뷰)로 명명된 이 우주 데이터의 분류는 “앞으로 15년간 여러 국가나 민간기업에서 이미 실행중인 화성 탐사 계획이나 다른 우주 관련 기술 개발 계획을 봤을 때 기존 목표 달성 외에 지구에서 일어나는 기업 활동이나 소비자 패턴에도 충분히 응용될 수 있는 데이터”라고 스팍스&허니의 CEO인 테리 영이 주장했다.

그는 이어서 “우리는 빅데이터에 관해서 굉장히 많은 시간 이야기해 왔고 관련된 활동을 행해왔지만 정확히 누구도 이런 방대한 데이터의 사용처에 대해 명확히 답변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며 “인공위성의 제작, 발사, 운용비용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인공위성에 부착된 카메라, 센서, 스캐너들을 이용하여 보다 더 실제적이고, 실용성이 높은 빅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미 많은 국가의 정부나 공공기관들은 국가 소유의 인공위성들을 활용해 각국의 분쟁들을 감시하고 난민들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거나 연구 목적으로 지구의 지상위에서 발생하는 많은 현상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이승주 기자 news@thebigdata.co.kr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