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정치

[여론조사] 한국인, 중국보다 러시아를 더 경제협력 관계로 인식

2017-09-04 14:06:00

[빅데이터뉴스 장선우 기자] 한국인들은 경제분야에서 협력관계에 있는 나라로 중국이나 일본보다 러시아를 더 많이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외국어대 러시아연구소(소장 강덕수 교수)와 전(全) 러시아여론조사연구센터(브치옴)이 공동 실시한 ‘한ㆍ러 양국 국민 상호인식조사’에서 경제영역에서 협력관계라고 생각하는 나라를 묻는 질문에 러시아를 꼽은 한국인의 비율은 38%였다. 미국(73%)에는 여전히 못 미치지만, 중국(26%), 일본(17%)은 크게 앞서는 수치다.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앞둔 시점에 실시된 이번 여론조사에서 중국을 경제적 협력관계로 보는 비율은 지난해 조사 당시 47%에 비해 21%포인트 급락했다. 일본도 5%포인트(22%→17%) 낮아졌다. 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한반도 배치를 둘러싸고 중국이 경제보복에 나서는 등 한ㆍ중 관계가 악화한 영향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끄는 일본 내각의 보수화와 위안부 문제 등으로 한ㆍ일 갈등이 지속하는 상황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한국과 러시아 국민 다수는 양국이 정치ㆍ외교, 경제 등 양자 차원의 협력을 넘어 지역 및 국제적 사안에서도 협력하는 ‘전략적 동반자’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은 74%, 러시아인은 63%가 한국과 러시아가 이미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거나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관계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는 한국인(51%)과 러시아인(35%) 모두 '국제정치 상황'을 꼽았다. 그 다음 장애물로 한국인(28%)은 상대국에 대한 '틀에 박힌 부정적 인식'을, 러시아인(19%)은 지리적 원거리성을 지적했다.

이번 여론 조사는 지난 7월 19~30일 각국에서 한국인 1,000명, 러시아인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한ㆍ러 양국 간 협력 잠재력, 협력의 장애 요인, 향후 협력 방향 등을 살피기 위한 설문조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실시됐다.

장선우 기자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