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회

생산연령인구 처음으로 감소…'고령사회' 진입

2018-08-28 09:46:13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 (자료=통계청)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 (자료=통계청)
[빅데이터뉴스 장선우 기자] 생산연령인구를 나타내는 15세에서 64세 사이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27일 공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생산연령인구인 15~64세 내국인은 2016년 전체 3631만2000명(72.8%)에서 지난해 3619만6000명(72.5%)으로 11만6000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고 감소세도 가파르다. 통계청은 생산연령인구와 유사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장래인구추계에서 2016년 3762만7000명에서 2017년 3762만명으로 7000명 정도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예측했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고령인구는 2016년 678만명(13.6%)에서 712만명(14.2%)로 증가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로 규정한다. 유엔(UN)은 노인인구 비중이 7~14%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인구 비중이 7.0%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는데 불과 17년 만에 다음 단계로 뛰어올랐다. 일본의 경우 24년(1970년~1994년)이 걸린 점을 감안하면 우리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된 셈이다.
고령인구의 증가와 출산율 저하에 따른 유소년인구(0~14세) 감소로 노령화지수는 더 커졌다. 유소년인구(0~14세) 100명 대비 고령인구 비중인 노령화지수도 2016년 100.1에서 지난해 107.3으로 7.2 증가했다.

시도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남이 22%로 가장 높았다. 경북과 전북이 각각 19.0%, 강원은 18.0%에 달했다. 서울의 고령인구는 13.7%였고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장선우 기자 news@thebigdata.co.kr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