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증권·금융

청년도약계좌, 수도권 쏠림 심화…월 납입액 높을수록 해지율 낮아

2024-08-26 16:05:14

10만원 미만 납입자 해지율 45.3%
강민국 의원 "중도해지해도 기여금 환수 저조... 개선책 필요"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빅데이터뉴스 양민호 기자]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10명 중 약 6명이 수도권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납입액이 높을수록 중도해지 비중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운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140만 명, 납입 금액은 7조1989억원이다. 월별 신규 가입자는 지난 3월이 35만5000명, 개설 금액은 1조567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
지난 1년간 중도 해지 건수는 14만4000건, 해지 금액은 4283억원으로 중도 해지율은 10.2%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 해지율 29.6%보다 낮은 수준이다.

가입자는 27세가 12만4000명(8.8%·납입 650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6세 12만3000명(8.8%·납임 6404억원), 28세 12만2000명(8.7%·납입 5490억원) 등의 순이다 .

성별로는 여성 가입자가 74만4000명(53.1%·납입 3조8069억원)으로 남성보다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8만7000명(27.7%·납입 1조989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수도권 가입자가 전체의 58.8%를 차지했다.

월 평균 납입 금액은 70만원이 53만3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납입 금액이 높을수록 중도 해지율은 낮았다. 70만원 납입자의 해지율은 0.4%로 가장 낮았고,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해지율은 45.3%로 가장 높았다.
‘청년도약계좌’는 특약과 업무협약서에 근거해 중도해지 시 , 지급된 정부기여금을 환수하고 있는데 7월 말 현재까지 환수한 건수는 10만7000건에 환수율은 74.3%(해진건수 14만 4000건)인데 반해 환수 금액은 92억원으로 환수율이 2.1%(해지금액 4283억원)에 그쳤다.

강민국 의원은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유지율은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금융당국은 중도 해지율을 낮추고 기여금 환수율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료= 강민국 의원실
자료= 강민국 의원실


양민호 빅데이터뉴스 기자 ymh@thebigdata.co.kr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