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지자체

부산시, 국가연구개발사업 3년 연속 1조 원 이상 유치… 지산학 협력 정책 성과 확인

2024-12-24 17:39:56

박형준 시장 취임 이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온 지산학 협력 정책의 가시적 성과

연구수행주체별 국가연구개발사업 부산시 유치현황 추이
연구수행주체별 국가연구개발사업 부산시 유치현황 추이
[빅데이터뉴스 박정배 기자] 부산시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으로 매년 1조 원 이상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국비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는 1조 3,312억 원을 유치해 전년 대비 17.2퍼센트(%) 증가한 역대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최근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이 발간한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부산시 유치현황’ 보고서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국가연구개발 부산 유치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가 연구개발예산의 연평균증가율(CAGR)은 8퍼센트(%)인데 반해, 시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액의 연평균증가율은 9.3퍼센트(%) 수준으로 조사됐다.
부산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액은 2021년 최초로 1조 원을 돌파한 이래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2022년 대비 2023년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이 6.6퍼센트(%) 증가한 것에 비해 시 유치액은 전년 대비 17.2퍼센트(%) 증가했다. 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부처별 지자체 사업 유치액 순위는 ▲해양수산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 개정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총 22개 대분류) 기준 연구 분야별 유치액은 ▲기계 분야가 가장 높았고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 분야가 뒤를 이었다. 또한, 연구 수행 주체는 ▲대학 ▲중소기업 ▲출연연구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22.6%), 대학(9.2%) 순으로 국비유치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과 매출 증가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 같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 성과와 관련해, 2021년 4월 박형준 시장 취임 후 시가 속도감 있게 추진해온 지산학 협력 정책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임과 동시에 시가 선제적으로 5대 선도사업 선정 등 지속 가능하고 미래먹거리로써의 중대형 사업 유치 활동을 적극 수행해온 결과로 분석했다.

또, 시 산하 출자·출연 기관인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등 관련 기관들이 시를 중심으로 대학, 지역 기업들과 협력해 연구개발사업 유치에 나서고,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의 정책기획부터 시비 지원 타당성 조사를 통한 투명하고 건전한 연구개발사업 유치 지원의 결과로 풀이했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시의 3년 연속 1조 원 이상 국가연구개발사업 유치 성과는 우리시의 지산학 협력 정책의 성과이자 부산의 미래산업 육성 전략의 출발이 성공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시를 중심으로 시 산하기관과 대학, 지역의 기업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미래산업을 유치하고 부산의 산업구조를 재편해 청년들이 희망하는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해나가겠다”라고 전했다.
박정배 빅데이터뉴스 기자 pjb@thebigdata.co.kr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