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최효경 기자] #50대 후반의 유혜영 씨(여·가명)는 어렸을 때부터 '오다리'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남들처럼 짧은 치마나 반바지를 입고 싶어도 휘어진 다리 때문에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살았다. 그런데 보기에 안 좋은 것은 둘째 치고, 요즘 들어 무릎이 자꾸 아픈 것 같아 걱정스러워 병원을 찾았다.
"아직 관절염이 올 나이는 아닌데, 오다리 때문에 그런 걸까요?" 검사 후 환자는 의사의 소견을 묻는다. "퇴행성관절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절염이 없으면 당장 수술할 필요는 없는데, 더 심해지기 전에 수술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술은 일명 오다리 교정술이라 불리는 '근위 경골 절골술'을 말한다. 다리가 오자로 휘면 무릎에 가해지는 힘을 고르게 분산 못 하고, 무릎 안쪽에 하중이 더 많이 쏠려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조기에 불러올 수 있다.
근위 교정 절골술은 안쪽으로 쏠린 무릎 중심축을 바꾸고 다리를 일자로 바로 잡아 안쪽 관절에만 집중되는 부담을 바깥쪽으로 덜어 분산시켜준다. 관절을 보존하면서, 치료가 가능하다.
오다리라도 무조건 수술하는 것은 아니다. 유 씨처럼 오다리면서 퇴행성관절염이 진행되고, 그 진행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절골술을 고려할 수 있다.
절골술을 하는 목적은 퇴행성관절염 속도를 늦춰 인공관절 수술을 하지 않고 내 무릎을 최대한 오래 쓰는 것이다. 수술 방법은 우선 경골에 금을 낸다. 뼈가 딱딱해 보여도 탄력이 있으므로 금을 내면 벌어진다. 금속판과 블록으로 벌어진 모양을 고정하면 시간이 지나 틈 사이에 뼈가 채워지면서 다리가 똑바로 펴진다.
예전에는 수술 후 최소 6주까지 걷기를 조심해야 했지만, 최근에는 금속판 자체가 견고하고, 수술기술도 좋아져 2~3주 후부터는 목발을 짚고 천천히 걷기를 권한다.
너무 오랫동안 발을 디디지 않으면 혈액순환이 안 되고, 무릎도 굳고 근육이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CT를 찍었을 때 △관절 끝부분이 잘 살아 있고 △금을 낸 뼈도 원하는 각도로 잘 벌어져 있고 △금속판도 잘 고정돼 있으면 수술 1주일 후부터 천천히 발 딛기를 시도해 볼 수 있다.
환자 중 관절염이 동반되었다는 것은 연골이 닳았다는 것이다. 절골술은 뼈만 바르게 펴는 것이지 연골에는 손도 안 대는데 어떻게 관절염이 좋아질 수 있느냐고 반문하는 분들이 있다.
보통 절골술을 할 때 뼈만 똑바르게 펴는 것이 아니라 무릎 관절 치료도 함께 한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찢어지고 손상된 연골을 다듬거나 연골이 손상된 부위에 3~4mm의 미세한 구멍을 고른 간격으로 뚫어 골수세포를 흘러나오게 해 연골 결손을 치료하는 미세천공술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처럼 절골술은 휜 다리를 똑바로 펴고, 손상된 관절을 회복시켜주기 때문에 퇴행성관절염 진행속도를 효과적으로 늦춰줄 수 있다. 주로 무릎 안쪽에만 관절염이 있을 때 효과가 크다.
수술 후 환자들의 만족도도 꽤 높은 편이다. 무엇보다 절골술 덕분에 본인의 무릎 관절을 최대한 보존하며 사용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오다리인 분들이 절골술을 고려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