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빅데이터

6세대 메모리 개발 '삼성전자' 반도체 기업 관심도 1위…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순

2025-09-25 06:43:46

ⓒ 데이터앤리서치
ⓒ 데이터앤리서치
[빅데이터뉴스 전슬찬 기자] 최근 2개월간 반도체 기업 중 삼성전자가 가장 높은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SK하이닉스가 그 뒤를 따랐다.

25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최근 2개월간 반도체 기업 관련 포스팅 수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로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DB하이텍 △주성엔지니어링 △LX세미콘 등이다.

분석 결과 삼성전자가 총 9만4569건의 정보량을 보이며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8월 뽐뿌의 한 유저는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딥엑스와 차세대 생성형 AI 반도체 ‘DX-M2’ 개발을 위한 2㎚(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계약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7월 팍스넷의 한 유저는 "삼성전자가 차세대(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제품인 HBM4 개발을 완료, '6월말 7월초' 글로벌 주요 고객사들에게 HBM4 샘플(시제품)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같은 달 티스토리의 한 유저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23조원에 육박하는 파운드리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반도체 동맹'을 꾸린 가운데 생산 밸류체인과 연계된 수혜 업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가 총 5만3442건의 온라인 포스팅 수로 관심도 2위에 올랐다.

8월 티스토리의 한 유저는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업무에 특화된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가이아(GaiA)'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어 "가이아는 SK하이닉스 구성원이 안전하게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업무 특화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게 목표다"라고 설명했다.

7월 뽐뿌의 한 유저는 "SK하이닉스는 전날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2025 인텔 인공지능(AI) 서밋 서울'에 참가해 AI 혁신을 선도해 나갈 메모리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고 말했다.

한미반도체가 총 6572건의 관련 포스팅 수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7월 마이민트의 한 유저는 "한미반도체는 반도체 장비 기업 테스테스와 하이브리드 본더 장비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말하며 "한미반도체의 HBM용 본더 기술과 테스의 플라즈마, 박막 증착, 클리닝 기술을 결합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DB하이텍 1989건, 주성엔지니어링 639건, LX세미콘 3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최근 2개월간 반도체 기업 관련 전체 포스팅 수는 총 15만7587건으로 전년 대비 461건, 0.29% 소폭 감소했다"고 말했다.

전슬찬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