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빅데이터

하나은행, 3분기 1금융권 소비자 관심도 1위…KB국민·신한·우리은행 순

2025-10-31 08:29:32

ⓒ데이터앤리서치
ⓒ데이터앤리서치
[빅데이터뉴스 서희림 기자]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이 2025년 3분기 국내 1금융권 은행 중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순으로 나타났다.

31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빅데이터뉴스 의뢰로 뉴스·커뮤니티·카페 등 다양한 채널 및 사이트를 대상으로 BNK부산은행, iM뱅크 등 지역 거점 은행 6곳을 제외한 제1금융권 14개 은행의 3분기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은행은 비수도권 은행을 제외한 시중 은행, 특수 은행, 인터넷 은행이다. 정보량 순으로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 △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 △NH농협은행(은행장 강태영) △카카오뱅크(은행장 윤호영)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 △토스뱅크(은행장 이은미) △SC제일은행(은행장 이광희) △Sh수협은행(은행장 신학기)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윤희성) △한국산업은행(은행장 박상진) △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 등이다.

분석 키워드는 '은행명'이며, 은행 고유 업무와 관련이 적은 사람 이름이나 후원, 경기, 스포츠 등의 키워드는 공통 제외어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하나은행이 올 3분기 총 29만2235건의 정보량을 기록해 제1금융권 중 관심도 1위에 올랐다.

지난 8월 X(구 트위터)의 한 유저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출시된 하나은행의 대한민국만세 80주년 적금이 우대금리를 포함해 최대 연 8.15% 금리를 받을 수 있어 일반적인 상품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성자는 "가입자와 하나은행이 각 815원을 독립 유공자에게 기부까지 하기 때문에 수익뿐만 아니라 사회적 효익까지 고려하는 상품"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7월 20대 여성 블로거는 하나은행 밀리언달러 통장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유학 때문에 하나은행 밀리언달러 통장을 사용하게 됐는데, 해외 주식 거래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28개 통화까지 거래할 수 있어 해외여행을 자주 가는 사람도 사용하기 좋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KB국민은행이 24만5252건의 관련 정보량으로 관심도 2위를 차지했다.

지난 9월 정**라는 블로거는 금리 인하 기조로 요구불예금에 대한 머니 무브 현상에 대해 설명하며, KB국민은행의 요구불예금 감소율이 타행 대비 낮아 머니 무브 방어에 성공했다는 포스트를 게시했다. 그는 "KB국민은행의 플랫폼 제휴 전략인 임베디드 금융 효과 덕분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같은 달 일상 블로그를 운영 중인 한 블로거는 KB국민은행의 별별통장에 대한 소개글을 올렸다. 그는 KB국민은행의 별별통장으로 매달 스타벅스 음료 쿠폰을 지급받고 있다며 별별통장의 혜택을 소개했다. 별별통장을 사용한 이후 커피에 지출하는 금액을 절약할 수 있고, 스타벅스 별까지 적립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신한은행이 24만2945건의 포스팅 수를 보이며 관심도 3위를 기록했다.

지난 9월 또 다른 유저는 신한은행이 자체 개발한 배달 앱 '땡겨요'의 이용 후기를 작성했다. 그는 땡겨요가 입점 수수료와 광고비를 받지 않고, 업계 최저 수준인 2%의 중개 수수료만 부과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기존 배달앱 수수료 평균이 11.4%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조건이라고 덧붙이며, 소상공인과 건강한 시장 구조에 보탬이 되는 것 같다는 긍정적인 후기를 전했다.

지난 8월 a*****라는 Threads의 한 유저는 신한은행의 파킹통장에 대한 정보를 게시했다. 작성자는 "신한은행의 헤이영 머니박스는 최고 2.2%의 금리, 신한슈퍼SOL통장은 최고 2.5%의 금리, 신한 땡겨요페이 통장은 최고 연 2.5%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적인 금융 서비스를 원하면서 낮은 자금을 가진 사람에게 무척 적합한 파킹통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은행 21만4431건 △IBK기업은행 17만6511건 △NH농협은행 17만190건 △카카오뱅크 14만612건 △케이뱅크 9만7508건 △토스뱅크 4만5244건 △SC제일은행 2만1924건 △Sh수협은행 1만4580건 △한국수출입은행 9296건 △KDB한국산업은행 7809건 △한국씨티은행 6228건 순이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올 3분기 1금융권 관련 전체 포스팅 수는 총 168만476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만2545건, 약 10%나 증가했다"고 말했다.

서희림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