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곽현철 기자] 경기도에서 전세매물이 줄어들며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에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대출 후 6개월 이내 전입신고를 의무화한데다 LTV를 60%로 축소하는 강력한 대출 규제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주택 소유자에게 실거주 의무를 부여한데다 잔금을 납부를 위해 전세 세입자를 받는 통로도 막히자 전세공급은 빠르게 줄어드는 추세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0월 1일 기준 경기도 전세 매물은 3개월 전(7월 1일) 대비 14.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인천은 21.9% 줄어들며 수도권 전역에서 전세매물 품귀현상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전셋값 상승은 당연지사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올해 7~9월 경기도는 0.26% 상승하며 전국 평균(0.21%)을 웃돌았다. 매물 감소와 맞물리며 세입자들이 체감하는 상승 부담은 수치보다 클 것으로 여겨진다.
주택공급 물량이라도 많았으면 모르겠는데 이마저도 아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입주물량은 7만4741가구로, 지난해 11만3708가구보다 약 4만가구나 줄었다.
고양시 소재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요즘은 전세 물건이 거의 나오지 않고, 한 단지에서 손에 꼽을 수준이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전문가들은 전세시장의 위축은 당분간 지속될거라고 내다봤다. 주택은 단기간 공급 확대가 어려우며 전세 수요를 촉발시키는 여러 재건축 및 정비사업이 현재 진행중이거나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세난이 가속화되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눈을 돌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일반 주택에 비해 최대 10년 장기 거주와 금리 상승률 상한을 보장하고 시세 대비 임대료가 낮아 금전 부담이 적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세입자의 주거 안정성을 확보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며 "무주택 실수요자들은 연내 공급계획을 확인하면 좋을 듯하다"고 말했다.
11월 대우건설이 운정신도시에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더 스마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1군 건설사가 처음으로 공급하는 운정신도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며 전용면적 59~84㎡에 총 552세대 규모다.
10월에는 포스코이앤씨가 오산시 세교2지구에 '더샵 오산역아크시티'를 공급한다. 전용면적 84·104㎡에 총 987세대 규모다.
이외에도 이천시에서는 신안건설산업이 '이천백사면 공동주택(가칭)'을, 의정부시에서는 현대건설이 '힐스테이트 회룡역파크뷰'를 공급할 계획이다.
곽현철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