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이태영 기자] CJ프레시웨이가 식자재 유통사업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가속한다고 24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 2023년부터 온라인 유통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오프라인 시장 중심인 기존 식자재 유통 서비스를 온라인에 구현해 고객 구매 편의 향상에 힘썼다.
CJ프레시웨이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한 약 20개 온라인 채널에 식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B2C 온라인 유통사업은 최근 3년간 1~3분기 누적 매출 기준 연평균 27% 매출 상승했다.
이츠웰, 아이누리 등 자체 브랜드 상품과 독점 유통 상품 등 가성비와 품질을 갖춘 상품을 선보였다. 스마트스토어는 3분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배 증가했다.
B2B 영역에서 외식업자를 대상으로 한 플랫폼 유통이 성장세다. 외부 플랫폼을 통한 유통 상품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연내에 자체 플랫폼 ‘프레시엔’ 공식 론칭도 앞두고 있다.
프레시엔은 외식업자를 위한 주문·결제·배송 통합 관리형 플랫폼으로, 거래 효율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라인 시장에서 채널과 고객 유형에 따라 품목별 수요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은 가정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냉동과일, 냉동새우, 어린이 간식류가 인기를 얻고 있다.
외식업자 대상 플랫폼에서 피자치즈, 닭다리살 등 조리용 식자재 수요가 늘고 있다. CJ프레시웨이가 독점 유통하는 상품은 B2C와 B2B 채널 전반에서 수요가 고른데 대표적으로 ‘프라텔리 롱고바디’의 토마토홀, 올리브오일 등이 해당된다.
CJ프레시웨이는 다채널 기반 유통 확대와 동시에 온라인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계획이다.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객 유형별 상품 추천 시스템 등 맞춤형 거래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객별 선호 상품, 업종별 주문 패턴을 분석해 최적 상품을 제안해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스마트스토어와 프레시엔을 채널 다각화 전략을 두고, 식자재 유통 전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디지털 식자재 유통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설명했다.
ⓒ 데이터앤리서치
한편 본지가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올해 9월 CJ프레시웨이 온라인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직전 한 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가 뉴스·커뮤니티·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 사이트를 대상으로 올해 9월 (2025.09.01~30) CJ프레시웨이 포스팅 수를 조사한 결과 총 3304건의 정보량(포스팅 수=관심도)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CJ프레시웨이 포스팅 수는 직전 달인 올해 8월(2025.08.01~31) 3156건에 비해 148건 4.69% 증가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지난 7월부터 정부에서 실시한 1차 민생지원 회복쿠폰의 신청기간이 9월 중순까지이고 2차 민생지원 회복쿠폰 신청 시작시기가 9월 말에 포함됐다”며, “고물가에 경기 상황도 좋지 않지만 민생지원 회복쿠폰 덕분에 관심도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