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부품 협력사 관계자들이 17일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단체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빅데이터뉴스 성상영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 탄소 중립 달성에 소매를 걷었다.
현대차·기아는 17일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부품 협력사들과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협력사와 함께 공급망 전반의 저탄소화를 가속화하고 기후 변화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중장기 탄소 감축 계획 수립을 돕고 설비 도입과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 저감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공급망 내 자발적 탄소 감축과 기업 간 협력 확산을 유도하는 민관 공동 지원 모델이다.
협약에 따르면 우선 산업부와 현대차·기아가 1차 부품 협력사의 탄소 감축 설비 교체비를 지원하고 1차 부품 협력사는 지원금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한다.
현대차·기아는 2045년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차량 생산, 운행,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탄소 순배출량 제로(0)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자동차 부품 산업 ESG·탄소 중립 박람회를 열고 협력사의 지속 가능 경영 역량 강화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업, 정부, 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 가능 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sy@thebigdata.co.kr, showing199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