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 지난 1월16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효성 마포 본사 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빅데이터뉴스 이승주 기자] 검찰은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넘어 수백억대 배임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를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조사2부(부장검사 김양수)는 전날 조 회장 등을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고발한 참여연대 측을 불러 근거 자료 등을 제출받아 혐의를 검토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지난 7월27일 갤럭시아포토닉스가 유상증자한 신주의 대부분을 2010년, 2011년, 2012년 세차례에 걸쳐 총 545억원에 인수하게 함으로써 효성에 손해를 끼쳤다는 이유로 조 회장, 조석래 전 회장, 조현문 전 부사장 등 효성 사내이사 5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한 바 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갤럭시아포토닉스는 LED 업계 불황으로 영업손실액이 늘어나며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00억대 이상 웃도는 등 재정이 악화 일로를 걷던 부실 계열사였다"며 "갤럭시아포토닉스는 2010년 3000만주, 2011년 4040만주, 2012년 4599만주의 신주를 발행했고, 효성은 2010년 2900만주, 2011년 약 3966만주, 2012년 약 4028만주 각각 이사회 의결을 통해 인수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갤럭시아포토닉스는 효성의 유상증자 매입 등 지원에도 영업적자가 계속됐고, 지난 7월11일 효성 임시주주총회에서 해산이 결정됐다.
참여연대는 관계자는 "조 회장은 효성이 갤럭시아포토닉스 유상증자 주식 대부분을 인수해 지분율이 45.7%에서 81.03%로 늘어났지만, 정작 자신에게 배정된 신주를 모두 실권해 개인 지분율은 23.2%에서 9.85%로 낮췄다"고 지적했다.
검찰은 지난달 17일 효성 본사 및 효성 관계사 4개소, 관련자 주거지 4개소 등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며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효성그룹 관계자는 "당시 LED 사업은 삼성·LG·포스코 등도 수천억~수조원을 투입했지만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중국산 저가 물량 공세로 결실을 보지 못한 사업이었다"며 "사업 성과만으로 배임을 논하면 기업의 투자활동이 위축되며, 자금을 투입한 다른 기업과의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