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빅데이터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 1위는 카카오...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順

2021-03-09 08:59:58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 1위는 카카오...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順
[빅데이터뉴스 김수아 기자]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1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카카오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1년 2월 9일부터 2021년 3월 9일까지의 61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16,780,005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했다. 지난 2021년 2월 브랜드 빅데이터 144,595,290개와 비교하면 19.24% 줄어들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했다. 브랜드평판 분석한 61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한국브랜드모니터 소비자위원이 진행한 채널평가도 포함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 1위는 카카오...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順
2021년 3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카카오, 삼성, 현대자동차, 네이버, LG, 신세계, 롯데, 한화, 농협, GS, 동원, KT, CJ, SK, 두산, DB, 포스코, 현대백화점, 한국투자금융, 대림, 효성, SM, 넥슨, 한국 GM, 한라, 코오롱, 셀트리온, 미래에셋, KCC, 부영 순으로 분석됐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카카오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584,447 소통지수 5,269,270 커뮤니티지수 1,077,056 사회공헌지수 328,015 소비자지수 3,874,53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133,327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5,122,402와 비교하면 117.35% 상승했다.
2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641,358 소통지수 2,791,969 커뮤니티지수 1,412,427 사회공헌지수 2,464,423 소비자지수 2,285,38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595,558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26,832,343과 비교하면 64.24% 하락했다.

3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365,972 소통지수 2,448,874 커뮤니티지수 2,233,792 사회공헌지수 1,220,218 소비자지수 2,893,1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162,033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6,455,400과 비교하면 41.93% 상승했다.​​

4위, 네이버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796,211 소통지수 3,847,335 커뮤니티지수 1,853,877 사회공헌지수 557,192 소비자지수 1,807,97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862,594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4,002,222와 비교하면 121.44% 상승했다.​​
5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587,468 소통지수 2,781,559 커뮤니티지수 851,326 사회공헌지수 293,913 소비자지수 2,654,14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168,415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4,482,047과 비교하면 50.50% 하락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월 빅데이터 분석 1위는 카카오...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順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1년 3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카카오 브랜드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브랜드 카테고리 분석을 보니 지난 2월 브랜드 빅데이터 144,595,290개와 비교하면 19.24% 줄어들었다. ​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이슈 21.89% 하락, 브랜드 소통 34.89% 하락, 브랜드 확산 18.99% 하락, 브랜드 공헌 54.45% 상승, 브랜드 소비 7.91% 상승했다." 라고 밝혔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1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1년 2월 9일부터 2021년 3월 9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1년 3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CJ, DB, GS, KCC, KT, KT&G, LG, LS, OCI, SK, SM, 교보생명보험, 금호석유화학, 네이버, 넥슨, 넷마블, 농협, 다우키움, 대림,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동국제강, 동원, 두산, 롯데, 메리츠금융, 미래에셋, 부영, 삼성, 삼천리, 세아, 셀트리온, 신세계, 아모레퍼시픽, 애경, 에쓰 오일, 영풍, 유진, 이랜드, 중흥건설, 카카오, 코오롱, 태광, 태영, 포스코, 하림, 하이트진로, 한국 GM, 한국타이어, 한국투자금융, 한라, 한솔, 한진, 한진중공업, 한화, 현대백화점, 현대산업개발,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호반건설, 효성 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