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회

국가철도공단, 철도교량 표준화 위한 성능검증 시행

2024-06-17 11:30:00

국가철도공단, 설계사, 시공사 등 철도교량 분야 전문가 약 50여명이 성능시험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국가철도공단 제공
국가철도공단, 설계사, 시공사 등 철도교량 분야 전문가 약 50여명이 성능시험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국가철도공단 제공
[빅데이터뉴스 강지용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지난 14일 자체개발한 철도교량 ‘KR-I 거더’의 성능검증 시험을 경기도 의왕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험동에서 시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철도교량 상판을 떠받치는 30m 길이인 ‘KR-I 거더’ 실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고 설계상 성능확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약 400톤의 하중을 주어 거더의 처짐, 변형률 및 균열응답 등 성능을 검증했으며, 시험결과는 성공적이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철도교량의 교각과 교각사이 경간(간격)과 형고(거더 높이)가 제각기여서 미관상 보기 좋지 않고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공단은 이를 해결하고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M엔지니어링을 공동기관으로 ‘철도교량 표준화’ 연구를 추진했으며, ‘KR-I 거더’는 그 첫 번째 결과물이다.

기존 PSC I형 거더교는 철도 노선에서 25m 경간 이하의 복선 교량에서 5주형으로 적용됐다. 공단은 ‘KR-I 거더’를 개발해 경간 길이는 30m까지, 복선에서 4주형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성과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경간 적용 길이가 확대(25m→30m) 가능하게 돼 도로나 하천 등을 통과하는 경우 서로 다른 경간을 적용해야 하더라도 형고를 통일할 수 있게 돼 미관개선과 비용절감, 유지관리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주형개수 감소(5주형→4주형)를 통해 상부구조 공사비를 10% 이상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성해 공단 이사장은 “이번 ‘KR-I 거더’ 성능시험 결과는 공단이 철도산업 연구개발을 주도적으로 수행한 성공적인 성과로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올해 8월에는 길이 45m인 ‘KR-U 거더’의 성능검증을 계획하고 있어, 향후 공단에서 개발한 철도교량 기술을 건설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kjy@thebigdata.co.kr
<빅데이터뉴스, 정규직 수습기자 공채>

빅데이터뉴스가 2025년 정규직 수습기자를 공개 채용합니다.
빅데이터뉴스는 미래산업인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언론으로 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신문입니다.
적극적이면서 진취적인 인재를 공채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리스트바로가기

헤드라인

빅데이터 라이프

재계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