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맞춤형 가전으로 인도 소비시장 공략 강화 지속 LG전자 인도 법인 상장 통해 현지화 경영 본격화
조주완 LG전자 CEO와 아쉬쉬 차우한 NSE CEO가 지난달 14일(현지 시간)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에서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을 축하하는 타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연합뉴스
[빅데이터뉴스 정혜영 기자] LG전자가 인도를 단순한 생산기지가 아닌 '제2의 내수시장'으로 확대하며 글로벌 제조 체계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공장 증설과 맞춤형 제품 개발, 법인 상장을 통해 인도를 생산·소비·수출이 결합된 전략 거점으로 강화하는 구상이다.
7일 LG전자는 "LG전자가 인도에서 조립 중심의 공장을 넘어 연구개발(R&D), 서비스, 판매망까지 아우르는 완결형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며 "저비용 생산거점이 아닌 글로벌 공급 허브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인도를 주요 소비시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을 강화 중이다. 사리(Sari) 세탁이 가능한 세탁기, 수질·전압 특성에 맞춘 냉장고와 정수기 등 인도 가정환경에 맞는 제품을 지속 출시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 14일에는 인도 현지 법인 'LG Electronics India'를 증시에 상장했다. 현지 투자자 기반을 확보하고, 인도 시장을 생산 중심이 아닌 소비와 투자 허브로 격상시키겠다는 의도다.
상장식에 참석한 조주완 LG전자 CEO는 이번 기회로 "인도는 LG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에서 핵심 거점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의 성장을 함께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나아가 인도를 수출 허브로 육성하는 장기 청사진도 추진 중이다. 스리시티 공장이 중동·아프리카 시장 공급까지 염두해 구축되고 있으며, '메이드 인 인디아(Make in India)'를 넘어 '메이드 인디아 글로벌(Make India Global)' 비전 아래 일부 생산 공정과 설비 이전을 검토 중이다.
업계에서는 LG전자의 인도 전략이 단순한 비용 절감 차원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분산하고 신흥시장 성장세를 흡수하려는 중장기 전략으로 평가한다. 인도 내 중산층 확대와 도시화, 가전 보급률 상승이 맞물리며, 인도가 LG의 신성장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LG전자가 인도를 글로벌 제조·소비 복합 거점으로 키워가며 새로운 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LG전자는 1997년 인도에 첫발을 디딘 이후 노이다와 푸네에 이어, 지난 5월 남동부 앤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에 세 번째 공장을 착공했다. 스리시티 공장은 연간 500만 대 규모의 가전을 생산할 수 있는 대형 시설로, 인도 내수뿐 아니라 인접 신흥국 수출까지 고려한 구조로 설계됐다.
ⓒ데이터앤리서치
이와 별도로 본지가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뉴스·커뮤니티·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 및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10월 한 달간 LG전자 정보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0월 LG전자 포스팅 수는 총 8만7430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6만5591건에 비해 2만1839건 33.30%나 급증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LG전자의 포스팅 수가 늘어난 것은 인공지능 세탁기, UP가전, 시그니처 OLED 등 프리미엄 가전과 AI 기반 신제품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확대된 영향"이라며 "최근 글로벌 사업 확대 소식과 맞물려 '가전 명가' 이미지가 재조명된 점도 고객들의 관심도를 높인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데이터앤리서치
데이터앤리서치는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LG전자 호감도도 조사했다.
분석 결과, LG전자는 긍정률 44.87% 부정률 5.24%,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39.62%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긍정률 44.79% 부정률 7.30% 순호감도 37.49%와 비교해 순호감도가 2.13%P 상승했다.
한편 포스팅 내에 ‘잘한다’, ‘성공’, ‘칭찬’ 등 긍정적 어휘가 많으면 긍정문, ‘못한다’, ‘실패’, ‘짜증’ 등의 단어가 많으면 부정문으로 분류되지만 이 단어들이 반드시 해당 기업을 직접 지칭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호감도 지표는 참고용으로만 감안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