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곽현철 기자] 우덕재단이 13일 '제4회 우덕 미래건축가상' 본선 심사 및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한일시멘트 본사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은 런던 컬리지 대학교 건축사 교수인 아드리안 포오티의 저서 '콘크리트와 문화'를 주제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이 책을 바탕으로 건축·도시 역사 속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재해석한 디자인을 제출해야 했다.
지난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52개 작품이 출품됐으며, 이 중 9개 팀이 본선에 진출해 작품 모형과 영상,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이며 최종 순위를 다퉜다.
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 박시영∙명지대학교 김지환 팀(어번 쿼리-Urban Quarry)이 차지했다. 폐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체 후 재조립해 노후된 도시를 콘크리트 채석장으로 바라본 발상의 전환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해당 작품은 본선 참가자들이 투표해 선정하는 인기상에도 선정돼 2관왕을 차지했다.
최우수상은 '땅 속의 우주; 기억을 새긴 콘크리트'를 출품한 고려대학교 서이슬·남혜린 팀과 'Palimpsest'를 출품한 제주대학교 이재우 씨가 수상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대상(1팀) 1000만원 △최우수상(2팀) 각 600만원 △우수상(3팀) 각 400만원 △장려상(3팀) 각 200만원 등 총 4000만 원의 장학금이 수여됐다.
본선은 참가자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심사위원들이 현장에서 평가한 후 점수를 집계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심사위원으로는 2019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최우수상을 수상한 김수영 건축사, 2023 한국건축역사학회 작품상을 수상한 이치훈 건축사, 2016 뉴욕 신진건축가상을 수상한 이승택 건축사 등이 초빙돼 참가자들에게 조언을 건넸다.
우덕재단은 한일시멘트 창업주인 우덕 허채경 선대회장이 지난 1983년 기업이윤의 사회 환원과 국가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일꾼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설립했다. 현재는 창업2세인 허정섭 명예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3세 허기호 한일홀딩스 회장이 지원하고 있다. 우덕재단은 사회 각계각층의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자 지난 2022년부터 '우덕 미래건축가상'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
사진 = 데이터앤리서치
한편 본지가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최근 30일(10월14일~11월12일) 한일시멘트 온라인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지난 30일(9월14일~10월13일)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앤리서치가 뉴스·커뮤니티·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 사이트를 대상으로 한일시멘트 포스팅 수를 조사한 결과 총 985건의 정보량(포스팅 수=관심도)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한일시멘트 포스팅 수는 지난 30일 856건에 비해 129건, 15.07% 올랐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한일시멘트가 최근 인사 개편을 단행했다"며 "최근 30일 한일시멘트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