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이경훈 기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는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를 지지할 뼈의 양이 부족한 경우 뼈를 이식하여 단단하게 고정해야 한다
. 뼈가 부족한 상태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되면 제대로 된 고정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염증질환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때문에 임플란트 식립 시 뼈가 부족할 경우 상악은 상악동거상술
, 하악은 뼈이식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해야 한다
.
사고나 외상
, 노화
, 치주질환등 다양한 이유로 치아가 발치 되면 뼈가 어느 정도 차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 치주질환에 이환 되어 상실된치조골은 발치할 때의 상태에 따라 회복되는 정도가 다르며
,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벽들까지 뼈가 녹아상실된 경우에는 자연 회복의 결과가 좋지 않다
. 이러한 경우 상실한 치아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위해 치조골을 회복시켜주는 목적으로 뼈 이식을 통해 치조골 재형성을 시켜주게 된다
.
뼈이식 재료로는 자신의 뼈를 이용하는 자가골
, 다른 사람의 뼈를가공한 동종골
, 사람 이외의 동물을 가공한 이중골
, 인공적합성으로 만들어진 합성골이 있다
.
이와 같은 뼈이식 재료 중 위험성이 가장 적은 것은 자신의 뼈이다
. 그러나자신의 뼈를 채취하는 데 있어서 통증과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쉬운 과정은 절대 아니다
. 이에따라 다른 동종골과 이종골
, 그리고 최근 많이 이용되는 합성골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 이러한 이식재는 당연히 자가골보다는 감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가골에 비해 흡수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
퍼펙트치과 소재현 원장은
“볼륨이 필요한 부분에는 오히려 대량흡수되는 자가골은 적합하지 않으며 수술환경에 따라 가장 적합한 뼈이식 식재를 선택해야 한다고 했다
”며
“뼈이식 후 식립된 임플란트와 뼈가 융합되기를 기다리는 기간은 보통
5~6개월이다
. 오래 기다린다고 뼈가 더 찾는 것이 아니므로 특별한 케이스가 아니면
6개월 이상 지체되는 것은 의미가 없다
. 일반적인 상황에서 발치 후
6개월 이상이라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생길 수 있는 뼈는 다 생겼다고 보고 정밀한 검사를 통해 골밀도와 골의 크기를측정하여 이후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고 설명했다
.
한편
, 잇몸 뼈는 한번 부족해지면 스스로 원상 회복이 되지는않는 경우가 빈번하며
, 이러한 잇몸 뼈를 다시 만드는 것은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의사의 경험과노하우가 중요하다
. 따라서 저렴한 병원을 찾기 보다는 숙련된 의료진이 상주하고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것이 중요하며 수술 전 철저한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
.
이경훈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