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이경훈 기자] 노후·불량주택의 수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 실제로 통계청이발표한 주택총조사 자료
(2016년 기준
)에 따르면
, 준공
20년 이상된 주택
(아파트
, 단독
, 연립
, 다세대
)은 전국
1669만
2,230가구중
762만
8,843가구로 약
46%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2015년 주택총조사 당시 준공
20년 이상 주택
716만
3,554가구에 비해
46만
5,289가구 늘어난 수치다
.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2월부터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에 관한 특례법
’을 바탕으로 ‘자율주택정비사업’과 ‘소규모재건축’ 등 도시재생 사업을 위한 본격적인추진에 나서고 있다
.
‘자율주택정비사업
’은
2~3명의 집주인이 합의하에 노후주택을 허물고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소규모 정비사업으로
, 한국감정원
,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정부지원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여기에 연
1.5% 금리의 사업비 지원과 용적률·건폐율 혜택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혜택이 있어 뉴타운이나 대규모재건축으로 인한 원거주민의 내몰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하지만 아직까지 주택 인·허가 권한을 가진 구청도 해당 주택이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능한 지역에 속하는지 아닌지 알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가 전혀 없고
, 자율주택정비사업 가능지역인 지구단위계획구역
, 주거환경개선구역
, 재건축 지정 해제구역
,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등을 관할하는 부서가각각 달라 주민들이 해당 부서에 일일이 문의해야 하며
, 이마저도
5년이상 지난 정비해제구역 등은 확인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
이에 최근에는 소규모재건축 및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전문 컨설팅 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 그 중
GS행정개발㈜는 서울시내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능한
5백여 구역
, 100만 가구 이상의 빅데이터 구축
, 계획부터 사업성분석
, 설계
, 철거
, 시공
, 입주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 현재는 서울시내
10여 곳에 정비사업을 추진중이다
.
특히 자율주택정비사업 대상에서 제외된 지역과 연립주택 등 소규모재건축 전문 컨설팅도 진행하고 있는데
, 서울경기지역
30년 이상 된 노후 연립
/빌라
1만여 곳의 빅데이터를 구축했으며 지역 상황과 주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재건축 상담이 가능하다
.
GS행정개발㈜ 임창진 대표는
“자율주택정비사업과 소규모재건축사업은 대규모재건축이나 재개발 등 전면철거 방식과 달리 공사기간이
1년 안팎으로 짧고 주민합의를 전제로 추진하기 때문에 주민들 간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
”며
“용적률과 건폐율 추가 혜택과 함께 주거 내몰림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주요 수단으로 주목 받아 왔다
. 이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함께 서민들의 자산가치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 전했다
.
이와 관련해 더 자세한 사항은
GS행정개발㈜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경훈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