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김수아 기자]  
생리대 브랜드평판 2019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시크릿데이 2위 좋은느낌 3위 화이트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생리대 브랜드 22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2019년 7월 24일부터 2019년 8월 25일까지의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3,719,671개를 분석했다. 지난 7월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2,731,732개와 비교하면 36.17%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생리대 브랜드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신제품런칭센터에서 분석한 브랜드 유통에 대한 평가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포함했다.
2019년 8월 생리대 브랜드평판 순위는 시크릿데이, 좋은느낌, 화이트, 깨끗한나라, 유기농본, 나트라케어, 바디피트, 내츄럴코튼, 쏘피, 청담소녀, 예지미인, 위스퍼, 라네이처, 한나패드, 라라문, 뷰코셋, 애니데이, 콜만, 허브데이, 오드리선, 앨리스, 마로메라  순으로 분석됐다. 
생리대 브랜드평판1위를 기록한 시크릿데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38,470  소통지수  332,530  커뮤니티지수  187,45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58,453로 분석됐다. 지난 2019월 7월 브랜드평판지수  377,688와 비교하면  47.86 % 상승했다. 
2위, 좋은느낌 브랜드는 참여지수 36,083   소통지수   272,900  커뮤니티지수  147,84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56,829로 분석됐다. 지난 2019월 7월 브랜드평판지수 332,545와 비교하면  37.37% 상승했다. 
3위, 화이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18,580   소통지수  177,285   커뮤니티지수   161,00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6,870로 분석됐다. 지난 2019월 7월 브랜드평판지수  355,196 와 비교하면  0.47% 상승했다. 
4위, 깨끗한나라 브랜드는 참여지수 16,754   소통지수  227,010   커뮤니티지수  110,94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4,710로 분석됐다. 지난 2019월 7월 브랜드평판지수  152,725 와 비교하면 132.25% 상승했다. 
5위, 유기농본 브랜드는 참여지수 38,797   소통지수  210,795  커뮤니티지수   105,04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4,634 로 분석됐다. 지난 2019월 7월 브랜드평판지수 376,145와 비교하면  5.72%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9년 8월 생리대 브랜드 분석결과, 시크릿데이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생리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7월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2,731,732개와 비교하면 36.17% 증가했다"면서 "세부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23.71% 상승, 브랜드 소통 51.54% 상승, 브랜드 확산 16.78% 상승했다"고 밝혔다.
구 소장은 이어 "2019년 8월 생리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시크릿데이 브랜드는 링크 분석에서 "체험하다, 안전하다, 안심하다 "가 높았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차은우,  유기농, 러브코튼"이  높게 분석됐다. 시크릿데이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비율 분석에서는 긍정비율 68.02%로 분석됐다"고 덧붙였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생리대 브랜드 평판지수는 2019년 7월 24일부터 2019년 8월 25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브랜드 유통에 대한 채널 평가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분석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