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첫 확진자 나온 1월 20일부터 11월 4일까지 '음식메뉴·먹자골목' 정보량 조사 한식은 삼겹살·김밥·곱창·불고기, 중식 볶음밥·짬뽕·짜장, 일식 초밥·우동·회·오뎅·라멘 순 감염병 여파 '먹자 골목' 포스팅 각 1만건 미만…건대 양꼬치 골목 톱, 마포 전골목 최저
이미지 제공 =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빅데이터뉴스 심준보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올해 쉼없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이 기간 국민들은 어떤 먹거리에 대해 관심이 많을까.
조사 결과 단일 메뉴로는 '피자'가 전체 1위를 차지했으며 '샐러드' '떡볶이' '파스타' '삼겹살' 순으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가 한국외식신문과 공동으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 1월20일부터 11월4일까지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2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주요 나라별 먹거리'와 서울 도심 '먹자 골목'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메뉴는 ▲한식 ▲양식(이탈리안 요리 포함) ▲일식 ▲중식 네 종류이다. 태국이나 베트남, 인도 등 기타 국가 음식 메뉴는 정보량이 현저히 적어 이번 조사에서는 제외했으며 한식 외 조사 대상 메뉴는 2000년 이전부터 국내에서 한국화된 음식만을 선정했다.
분석 결과 이 기간 '한식'과 주요 한식 메뉴를 합산한 정보량은 총 1640만465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식의 경우 수많은 메뉴가 골고루 관심을 받고 있어 전체 정보량에 비해 단일 메뉴의 정보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다.
2위는 이탈리안 요리를 포함한 '양식'으로 이 기간 1621만832건을 기록했으며 일식이 828만9,906건으로 3위, 중식이 495만2925건으로 4위를 차지했다.
이미지 제공 =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이들 음식의 주요 메뉴별 정보량을 조사했다.
한식의 경우 떡볶이가 312만5221건으로 코로나19 기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찾은 메뉴로 나타났다. 이어 △삼겹살 228만7400건 △김밥 170만2850건 △곱창(막창 대창 포함) 139만172건 △불고기 127만8934건 △냉면 125만744건 △칼국수 105만3743건 △된장찌개(찌게 키워드 포함) 93만6547건 △비빔밥 93만5777건 △김치찌개 88만6789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에는 없지만 순대, 잡채, 수제비, 육개장, 떡국, 파전, 청국장, 갈비, 팥죽, 설렁탕 등도 국민들이 많이 찾는 메뉴였다.
양식의 경우엔 △피자 358만5862건 △샐러드 313만4515건 △파스타(스파게티 및 까르보나라 포함) 304만9459건 △스테이크 162만7595건 △샌드위치 148만5157건 △햄버거 121만4296건 △토스트 82만6253건 △바비큐(바베큐 포함) 77만1153건 △핫도그 48만9491건 △리조또(리소토 포함) 34만4184 건 순이었다.
한식과 달리 톱10 메뉴와 톱10외 메뉴간 정보량 차이는 컸다.
일식의 경우 스시(초밥 포함)가 214만9678건으로 정보량이 가장 많았으며 △우동 132만2857건 △회(사시미 포함) 75만384건 △오뎅(어묵 키워드는 미포함) 48만3907건 △라멘(라면 키워드 미포함) 42만3103건 △소바 41만1203건 △샤브샤브 40만7329건 △타코야키 13만3121건 △가라아게 8만2791건 △가쓰오부시 3만7548건 순으로 나타났다.
일식은 톱8 이외 메뉴의 경우 각 10만건 미만에 그쳤다. 총 116만822건이 나온 '돈까스(돈가츠, 포크 커틀릿 포함)'의 경우 국적이 불분명해 이번 조사에서는 특정 국가 메뉴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