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뉴스 임이랑 기자]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기업 휴이노(대표이사 길영준)가 유한양행과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원내 모니터링 솔루션 ‘메모 큐(MEMO Cue)’의 국내 판권 계약을 체결하며 협력 범위를 넓혔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제품 단위에서 솔루션 단위로 협력을 확장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메모 큐는 심전도 측정기 ‘메모 패치(MEMO Patch)’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메모 밴드(MEMO Band)’, 그리고 입원 환자의 생체신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원내 종합관제 시스템’으로 구성된 복합 의료기기다. 지난 2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심전도 감시(원격심박기술 감시 행위, EX871)’ 건강보험 수가를 획득하며 본격적인 상용화 기반을 마련했다.
메모 큐에는 휴이노가 자체 개발한 ‘메모 AI(MEMO AI)’ 분석 기술이 탑재돼 있다. 이를 통해 입원 환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 분석하고 이상 징후를 즉각 감지해 신속한 의료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메모 AI 기술은 2021년 하버드의대와 MIT가 주관한 글로벌 의료 인공지능 대회 ‘피지오넷 챌린지(PhysioNet Challenge)’에서 부정맥 분석 2개 부문(6-lead 및 4-lead) 전세계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메모 큐의 핵심인 메모 패치는 최대 8일 연속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부정맥 진단에 특화돼 있다. 초소형·초경량 디자인으로 환자의 착용 부담을 줄여 병동뿐만 아니라 재택 관리에도 적합하며, 미국·일본 등과 같이 국내 재택 의료 관련 제도가 마련되면 타깃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유한양행과 휴이노의 협력은 이미 국내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양사는 디지털 헬스케어 협력의 일환으로 2022년 메모 패치 국내 판권 계약을 체결하고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도입 확대에 힘써왔다. 지난 7월에는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메모 패치 누적 검사 건수가 1만건을 넘어 단일 의료기관 기준 국내 최대 성과를 기록했다. 유한양행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메모 큐 또한 국내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빠른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2020년부터 휴이노의 메모 패치를 통해 국내 상급종합병원 중심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왔다”라며 “메모큐는 병원 인력 부족 문제에도 기여해 의료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당사의 병원 네트워크를 활용해 신속히 보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길영준 휴이노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단일 제품 중심에서 솔루션 단위 협력으로 전환하게 됐다”며 “당사의 의료 인공지능 기술력과 유한양행의 시장 지배력을 결합해 높은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긴밀한 협업을 통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혁신적인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iyr62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