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오픈AI와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부문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2023년 9월 오픈AI와 공동 주최로 열린 '글로벌 AI 해커톤' 행사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사장)가 발언하는 모습 ⓒSK텔레콤
[빅데이터뉴스 성상영 기자] SK텔레콤이 국내 통신사 중 처음으로 오픈AI와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부문에서 손을 맞잡았다. 오픈AI와 'B2C 동맹'을 맺은 SK텔레콤은 자사 이동통신 가입자를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유료 서비스 구독 마케팅을 선보이며 AI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16일 오픈AI와의 첫 B2C 사업으로 '챗GPT 플러스 1+2' 구독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 간 유료 버전인 챗GPT 플러스를 구독한 이력이 없는 SK텔레콤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상이다. 1개월 구독 시 2개월 무료 이용 혜택을 제공하는 게 골자다. 프로모션 기간은 오는 19일부터 내년 2월까지다.
양사 간 동맹은 오픈AI 한국 법인 출범이 계기가 됐다. 오픈AI는 지난 10일 '오픈AI 코리아' 출범식을 열고 국내 대학·기업과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오픈AI는 SK텔레콤과 2023년 '글로벌 AI 해커톤'을 공동 개최한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주도로 설립된 산학 협력체 'MIT 젠AI 임팩트 컨소시엄'에 함께 창립 멤버로 합류했다.
SK텔레콤은 오픈AI와의 협력을 발판 삼아 국내와 해외를 넘나드는 'AI 밸류체인(가치 사슬)'을 다진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향후 B2C 사업뿐 아니라 SK그룹 차원에서 폭넓은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최근 SK텔레콤은 '자강(自强)과 협력'을 기치로 내걸고 공격적인 AI 사업화에 나섰다. 앤트로픽·퍼플렉시티 같은 AI 기업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고 정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 게 대표적 사례다. 지난달에는 그래픽 처리장치 서비스(GPUaaS) '해인'을 출시하고 울산에 비수도권 최대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착공했다.
이재신 SK텔레콤 AI성장전략본부장은 "글로벌 AI 리더인 오픈AI와 쌓아 온 신뢰를 바탕으로 마케팅 시너지를 내게 돼 기쁘다"며 "글로벌 협력과 자강을 투 트랙으로 삼아 고객 중심 AI 생태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